'기업 사냥꾼' 칼 아이칸의 경영권 위협을 받고 있는 KT&G가 포스코(POSCO)와 자사주를 교환(스와프)하는 방식으로 경영권 방어에 나서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9일 "KT&G와 포스코의 경우 과거 정부 지분 매각 과정에서 지배 주주를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외부로부터의 경영권 위협에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며 "KT&G가 지난해부터 경영권 안정 차원에서 포스코와 자사주 교환 방식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KT&G 관계자도 "취약한 지분 구조로 인해 일어나는 경영권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포스코와의 자사주 교환 방안을 검토한 적이 있다"고 밝히고 "그러나 아직 포스코와 구체적으로 협의 한 일은 없다"고 덧붙였다. KT&G의 이 같은 방안은 의결권이 없는 자사주를 우호적인 세력에게 넘겨 의결권을 부활시킴으로써 경영권을 안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KT&G와 포스코는 현재 각각 9.58%와 11.11%에 달하는 자사주를 갖고 있다. KT&G와 포스코는 모두 단일 최대주주가 외국계 펀드이고 국내 지배주주가 없기 때문에 경영권 방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KT&G 지분을 보유한 한 투신사 임원은 "KT&G와 포스코가 자사주를 상호교환 매입해 줄 경우 두 회사는 모두 튼튼한 우호 주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스코는 이와 관련, "현재 검토하거나 논의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정종태·고경봉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