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기아자동차가 지난해 의욕적으로 출시한 신차들의 성적이 그저 그렇습니다. 정의선 사장이 맡은 지 1년 가까이 되지만 아직은 큰 효과를 못보고 있습니다. 박성태 기자입니다. 기자> 기아자동차가 의욕적으로 내놓은 중형 세단 ‘로체’입니다. 지난 1월 국내시장에서 팔린 로체는 모두 2천799대. 연간 내수 목표가 6만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목표의 60%가 채 안됩니다. 특소세 인하가 종료돼 판매가 줄었다고는 하지만 경쟁차종인 쏘나타, SM5가 선전한 것과 비교하면 초라합니다. 기대했던 신차효과가 까놓고 보니 더 실망스러운 경우는 지난 여름 출시한 그랜드카니발입니다. 정몽구 회장까지 나서 ‘기아차의 야심작’이라고 치켜세웠지만 지난해 국내에서 팔린 대수는 고작 8천6백여대. 목표치의 절반도 안됩니다. 같은 연구소에서 개발하고 부품도 공동으로 쓰지만 현대차의 그랜저, 신형 싼타페가 잘 달리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신차가 그럭저럭이니 실적도 그저 그렇습니다. 환율 하락의 여파가 컸다지만 지난해 영업이익은 겨우 740억원. 2004년보다 85%가 줄었습니다. 정의선 사장이 맡은 지 1년 가까이 되지만 아직 크게 개선된 점은 찾을 수 없습니다. 기아차는 이에 대해 “현대차와는 아무래도 브랜드 파워에서 밀리는 것이 사실이다”면서도 “차 한대를 개발하는데만 3년이 걸린다”며 “기아차의 달라진 모습은 장기적으로 꾸준히 보여줄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주식시장에서는 정의선 사장이 기아차 주식을 추가로 살 것이라는 이른바 ‘ES 효과’가 여전히 힘을 얻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아차가 진짜 ‘ES 효과’를 볼 것인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습니다. 와우TV뉴스 박성태입니다. 박성태기자 stpark@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