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6일 전격 발표한 스크린쿼터(한국영화 의무상영 제도) 축소 방침으로 영화계가 크게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주무부처인 문화관광부가 내놓을 후속 대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동채 문화관광부 장관은 27일 오전 10시 기자회견을 통해 스크린쿼터 축소에 따른 파장을 줄일 정부의 후속 대책을 발표한다. 정 장관은 이 자리에서 대규모 예산지원과 제도개선 등 영화계 지원방안을 밝힐 예정이다. 정부의 영화계 지원 방안에는 수천억원 규모의 국고 예산을 독립ㆍ예술영화의 제작ㆍ배급부문에 지원하는 방안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조합 활성화를 통해 상업영화의 투자환경을 개선하는 대책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26일 오전 정동채 장관 주재로 긴급 대책회의를 가진 문화부는 "그동안 스크린쿼터의 축소반대 입장을 견지했으나 고위 당정협의회를 통해 축소방침이 정해진 만큼 후속대책을 충실히 마련하겠다"면서 "스크린쿼터 축소로 한국영화산업이 위축되지 않고 활력을 유지하도록 예산지원과 제도개선을 비롯해 수출지원, 인력양성 등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후속 대책에는 법인세 감면과 투자소득에 대한 세율 인하 등 세제혜택을 비롯해 제작배급사와 극장간의 수익분배율(부율)의 조정도 적극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서울개봉관 입장료 수입의 경우 국산영화는 제작배급사와 극장이 5대 5, 외국영화는 6대 4의 비율로 배분한다. 흥행에 성공하더라도 한국영화 제작사는 외국영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손해를 보는 셈이다. 정부는 이번 기회에 이를 형평성 있게 조정한다는 방침이다. 문화부 관계자는 "지난해 추석연휴나 연말에 국산 블록버스터 영화 3편이 전국 극장 스크린의 80%를 차지했다"면서 "현행 스크린쿼터가 독립ㆍ예술영화를 보호해주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스크린쿼터 축소를 계기로 확보한 재원을 통해 독립ㆍ예술영화 제작을 적극 지원하면 한국영화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정부의 이 같은 지원대책에 대해 영화계 일각에서는 "돈받고 스크린쿼터를 팔아먹었다"며 반발하는 입장이어서 정부로서는 섣부른 지원방안을 내놓았다가 더 큰 반발에 부딪힐 가능성도 있다. 이 때문에 지원대책을 내놓는 것이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문화부 관계자는 분위기를 전했다. 정동채 장관이 27일 발표할 후속 대책에는 영화계에 대한 예산지원의 전체적 규모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부 관계자는 세부 지원방안은 추후 영화계의 의견을 수렴해 세워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정천기 기자 ckchu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