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디지털 방송 전환이 윤곽을 잡고 있고 업황이 긍정적으로 전개되면서 셋톱박스 업체들에게 2006년은 또 한번 의미 있는 한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 업체들은 이같은 특수를 놓치지 않기 위한 분주한 연말을 보내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셋톱박스 관련 기업들이 또 한차례의 비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S-1 STB 업체, 디지털방송 전환 수혜) 최대 수요처라 할 수 있는 북미와 유럽 지역이 디지털 방송 전환의 급물살을 타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다 연말 연초 성수기를 감안할 경우 그동안 다소 주춤했던 매출부문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INT) 셋톱박스 업체 관계자 (내년 월드컵이 있고.. 이와 관련해서 방송 사업자들이 SD급에서 HD급으로 전환한다. 교체 수요가 발생한다.. 유럽쪽에서도 아날로그 방식인데 대부분이 내년 맞아 디지털로 전환된다) S-2 휴맥스, 미주지역 공급물량 증가) 업계 선두주자인 휴맥스는 지난 3분기부터 미국에 공급하는 셋톱박스 물량이 크게 늘어난 상태로 개인영상저장장치인 PVR과 HD급 셋톱박스 등의 제품 수요 증가에 만반의 준비를 마친 상태입니다. 이밖에 최근 몇 년 동안 가파른 외형성장을 이어온 가온미디어와 토필드 등의 업체들 역시 내년 독일 월드컵 특수로 인한 매출 증가를 기대하며 기술 개발과 마케팅에 총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S-3 홈캐스트, 하이앤드 제품군 주력) 룩셈부르크 종합케이블 방송사업자에게 디지털 셋톱박스를 공급하기로 한 홈캐스트는 이번 공급건을 계기로 유럽지역 매출비중을 보다 높여나갈 계획이며 월드컵 특수에 맞춰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에 더욱 주력한다는 방침입니다. INT) 홈캐스트 관계자 (월드컵 특수가 관건이기 때문에 이에 대비한 하이앤드 제품쪽을 고려하고 있다.. HD 셋톱박스, PVR 등 고부가가치 셋톱박스 쪽을 보고 있다.. 이미 라인업 다 돼있다..) S-4 영상편집 이주환) 특히 전세계 시장의 50%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 시장의 경우, 그동안 카르텔에 묶여 일부업체를 제외하고는 시장 진입자체가 어려웠지만 지난해 독과점 판정으로 내년 7월부터 시장이 오픈될 예정이어서 시장 진입을 노리는 셋톱박스 업체들을 설레이게 하고 있습니다. 와우TV 뉴스 김정필입니다. 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