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노사관계가 하루 빨리 개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대립적이고 소모적인 모습을 바꾸지 않고는 글로벌 무한경쟁시대에서 더 이상 승산이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유가폭등 등 외부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노사가 서로 힘을 모아 생산성을 높여 경쟁 기업들을 따돌리기에 힘이 겨운 판에 기업들은 정작 내부갈등을 해결하는 데 여력의 상당부분을 쏟아붓는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노사간 반목과 대립은 더 이상 개별 사업장에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개별 기업을 넘어서 국가 경제의 미래를 좌지우지하는 주요 변수가 되고 있다.


외국인 CEO(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한 각종 설문조사에서도 드러나듯이 투쟁적인 노사관계가 국가경쟁력의 큰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외국 투자자들은 전투적이고 호전적인 노조를 외자유치의 가장 큰 장애 중 하나로 꼽고 있을 정도다.


특히 친노(親勞)성향을 보인 참여정부가 출범한 이후 노동계의 기대심리는 그 어느때보다도 높다.


참여정부 출범 초기 '밀어붙이면 통한다'는 집단이기주의적 힘의 논리가 득세하며 산업현장을 초토화시킨 게 사실이다.


철도노조 화물연대 조흥은행노조 현대자동차노조 등 대규모 기간 사업장의 파업들이 줄줄이 이어지면서 경제의 숨통을 조여왔다. 올 들어서도 국가기간 시설을 담당하는 기업들의 파업이 이어졌다.


아시아나항공에 이어 최근에는 대한항공의 조종사 파업으로 연말 수출물류 수송에 비상이 걸리기도 했다.


이러한 대립의 악순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기업이 건강해야 근로자가 살고, 근로자가 대접받아야 기업의 경쟁력도 제고된다는 '상생'의 원리가 뿌리를 내려야 한다.


사실 자본과 토지 노동 등 물적 자산이 지배하던 시대에나 통했던 정치적이고 투쟁적 노동운동은 이제 설 땅을 잃고 있다.


노조가 투쟁의 깃발을 높이 세울수록 기업의 생존 능력은 그만큼 떨어질 수밖에 없다.


무한경쟁의 세계화 시대에는 신뢰에 바탕을 둔 신노사관계 수립이 절실하다.


상생의 노사관계는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이다.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의 대다수 우량기업에선 오래 전에 노사가 대립적 관계를 청산하고 생산성 향상을 위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있다. 이들 기업은 상생의 노사관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높이면서 세계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사실 GE, 노키아, 도요타 등 내로라하는 세계 초우량기업 치고 노사가 대립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럴 시간과 여유도 없다. 어떻게 하면 생산성을 높여 더 많은 물건을 팔고, 더 많은 인센티브를 챙길 것이냐가 경영자와 근로자의 관심거리일 뿐이다.


노사 전문가인 쿠크는 "노사가 대립할 때는 파이가 경영자만의 책임과 노력으로 구워지지만 협력적일 때는 노사가 책임을 어느 정도 분담하기 때문에 질 좋은 고급 파이를 더 많이 구울 수 있다"고 간파했다.


대립적이고 소모적인 한국의 노사관계는 지금 시대환경에 맞는 일대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노동조합은 지금까지의 투쟁지향의 강성 노동운동에서 탈피,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회사측도 근로자를 공동운명체의 동반자로 인식해야 한다.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노사관계의 패러다임은 무엇인지,우리 근로자와 기업이 경쟁력을 갖고 안정된 삶과 번영을 함께 누려갈 방법이 무엇인지를 고민해야 할 때다.


김태철 기자 synerg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