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복합도시가 완공되는 2012년 이전에 수도권 공장 신ㆍ증설을 허용하는 것은 지방을 죽이는 일이며 장기적으로 국가경쟁력을 쇠퇴시키는 것이다." 지난 21일 오전 11시 대구시청 기자실.TK 지역의 국가균형발전위원을 포함한 4명의 혁신분권 단체 대표들은 공동기자회견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들은 중앙정부가 수도권 규제를 완화할 경우 해당 단체를 해산하고 시민불복종운동까지 벌이겠다며 강력 반발했다. 이틀 뒤인 23일 오전 10시30분 산업자원부는 수도권 공장 신ㆍ증설을 원칙적으로 제한한다는 내용의 브리핑을 했다. 때맞춰 LG도 구미에 내년 7700억원,2007년 7300억원의 투자계획을 밝혔다. 구미에서는 김관용 구미 시장과 구미시의회가 LG필립스LCD의 4공단입주를 반대해 LG필립스가 홧김에 파주로 갔다는 유언비어가 확산되면서 구미시가 진화에 나서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당시 상황을 잘 아는 구미상의의 K모씨는 "당시 4단지 조성사업을 하던 수자원공사에 요구해 땅값까지 내려줬다"고 말했다. 김관용 구미시장도 "모든 일을 수자원공사에서 결정했는데 힘없는 지방정부가 책임을 뒤집어쓰는 꼴"이라며 펄쩍 뛰었다. 그러나 당시 김 시장과 의회가 떠나려는 LG필립스LCD를 잡는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사실은 알 만한 사람은 다 알고 있다. "지자체들이 대기업 유치에 가장 중요한 핵심인력들이 거주할 수 있는 정주 시설의 개발에 얼마나 노력했는지도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봐야 합니다. 시민단체들의 눈치나 보면서 미온적으로 대응해서는 문제해결이 어렵습니다."(S전자 관계자) 기업인들이 구미 인근의 칠곡에 외국인 정주 여건을 갖춘 디지털밸리를 건립하자고 했을 때 김 시장이 "구미가 망한다"며 가장 많이 반대했던 것도 지금의 사태를 촉발한 원인 중 하나라는 지적이다. 여론에 밀려 기업정책을 결정짓는 정부와 지자체가 있는 한 기업의 경쟁력은 향상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았으면 한다. 신경원 사회부 기자 shi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