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서울시장은 13일 "한나라당의 차기 대선 후보는 당내 경선을 통해 뽑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시장은 이날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중견 언론인단체 관훈클럽(총무 박정찬 연합뉴스 경영기획실장) 토론회에 초청 연사로 나와 이같이 말했다. 다음은 이 시장과의 일문일답. -- 서울시장으로서의 행보가 `대권'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얘기가 많은데 ▲ 많은 사람들이 이제 일년 남았으니 서서히 준비하라고 한다. 그러나 일하는 사람에게 1년은 긴 시간이다. 떠나는 날까지 시장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이다. --`이명박 무조건 출마론'과 민주주의의 `승복의 문화'에 대한 견해는 ▲ 1995년 신한국당 서울시장 경선 당시 김영삼 대통령이 정원식씨 추대를 원했지만 나는 그것에 반대해 결국 경선을 하게 됐다. 불공정 선거여서 승복할 것인지 말 것인지 고민했지만 경선을 이룬 것만 해도 민주주의의 발전이라고 생각돼 승복했다. -- 한나라당의 차기 대선 후보가 어떻게 정해져야 한다고 보나 ▲ 일반 당원 입장에서 말한다면 경선을 선호한다. 공개적이고 투명하고 공정한 경선을 통해 민주주의가 발전하고 국민의 지지를 받는 대선 후보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한국에서 여성 대통령이 나올 때가 됐다고 보나 ▲ 지도자를 뽑는데 남녀를 구분하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 그 사람의 리더십과 커리어를 보고 그 시대에 맞춰 선택하면 되는 것이다. 박근혜 대표 정도 되면 이전 대통령들과 비교해도 대통령을 못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자격이 있으면 똑같은 기회로 경쟁할 수 있고, 이제 한국사회도 그 정도 성숙했다고 생각한다. --지역갈등에 대한 견해와 충청권 민심 설득의 복안은 ▲ 지역갈등은 국민들 책임이 아니라 정치인들의 책임이다. 국민은 지역감정을 뛰어넘을 준비가 돼 있다. 아직 대선출마를 선언하지 않았기 때문에 충청권 민심 설득에 대해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다만 표를 의식하고 어떤 일을 하지는 않을 것이다. 국가의 이익을 먼저 선택할 것이고 기존 정치권처럼 지역감정을 유발하는 낡은 정치는 하지 않을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지역구도 극복을 위해 선거구제 개편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 모든 정책 변화는 국민의 신뢰와 지지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지금 신뢰가 부족한데 무엇을 하겠다고 하면 점점 불신이 더 커진다. 정치권에서만 적당히 타협해서 하는 정책은 성공할 수 없다. -- 행정중심도시에 대한 견해는. ▲ 균형발전이라는 것은 국가 경쟁력 전체를 봐야 하고, 하향식이 아닌 상향식 발전이 돼야 한다. 한쪽의 부를 가져다 다른 쪽에 놓으면 전체적으로 결국 똑같을 뿐이다. 행정수도가 서울에서 한 시간 반 거리에 있는 데 어떤 효율성을 가질 수 있을지 생각해 봐야 한다. 각 지역은 지역 특색에 맞게 발전해야 하며, 지방은 지방에 맡겨 둬야 한다. 정부가 지방에 구체적 지침을 내리는 것은 6,70년대 방식이다. --내각제와 대통령제 중 어느 쪽을 선호하나 ▲ 내각제냐 대통령제냐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역사, 문화 등 모든 것 감안해야 한다. 남북 통일, 동북아에서의 생존 문제, 통일 이후 새롭게 닥쳐올 국가 안보문제 등을 고려한다면 대통령제가 좋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제대로 된 대통령을 못 만났기 때문에 불만을 갖고 있지만 제대로 된 대통령제를 해봐야 한다. --대통령 단임제와 4년 중임제 중 어느 쪽을 선호하나 ▲ 어느 쪽에도 집착하지 않는다. 다만 현 정권에서 헌법을 개정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본다. 지금 한다면 정략적으로 이용한다는 오해를 살 수 있다. 필요하다면 대선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걸어 국민의 선택을 받아야 할 것이다. --전직 대통령 가운데 가장 존경하는 분과 그 이유는 ▲한 사람에게만 점수를 좀 낮게 주고 싶고 다른 사람들은 다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내가 그 분들을 평가하는 것은 결례이다. 다른 국민들과 대동소이하다고 보면 된다. (서울=연합뉴스) 김정은 기자 kj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