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복원을 앞두고 지난 40년간 소외지역으로 남아있던 서울 무교 관철 관수동 일대에 상인들이 몰려들고 있다. 오피스 빌딩이 밀집된 청계천 광장∼삼일로 네거리 사이는 주말 저녁에도 외식업체들의 네온사인이 반짝일 만큼 활기를 띠고 있고,서울극장 뒤편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호텔까지 들어섰다. 구옥이 많은 종로구 관철·관수동,중구 수표동 일대는 지난달 지구단위계획이 확정된 후 관할 구청에 상업빌딩 등의 신축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청진동 5평에 권리금만 4억원 무교동 일대는 청계천 복원으로 가장 번성하고 있는 곳이다. 베니건스 스무디킹 등 몇몇 외식업체들은 상권 변화를 읽고 일찌감치 점포를 확보,짭짤한 재미를 보고 있다. 하지만 무교동 지역은 기업 본사 등 업무용 빌딩들로 꽉 차 있어 임대점포는 거의 나오지 않는 상황. 이에 따라 해장국 골목으로 유명한 종로쪽 청진동으로 상권이 확산되는 추세다. 인근 S부동산 이모씨는 "1∼2년 전만 해도 하루 한 건 정도였던 상가 임차 문의가 하루 십여 건씩 들어오고 있다"며 "강남에서 10억원 이상씩 들고 임차 문의하러 오는 분들도 꽤 있다"고 귀띔했다. 몇몇 테이크아웃 커피점,푸르츠(과일)전문점은 무교동 청계천변 쪽엔 마땅한 '물건'이 없자 청진동 쪽으로 눈을 돌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임대료도 크게 올라 청진6지구 대로변 실평수 5평 상점의 경우 보증금 3000만원에 월세 150만∼200만원 선으로 권리금이 4억원 붙었다고 한 중개사는 소개했다. 종각역을 중심으로 종로 대로변에 위치한 소규모 상점들은 1년 새 보증금으로 환산한 임대료가 평당 9000만∼1억1000만원 선까지 뛰어올랐다. ◆건물 신축 문의 잇따라 점포수요가 늘자 개발 바람도 불고 있다. 올해 초 관철동에 주상복합 '종로 1번가'가,관수동엔 지난 7월 외국인 전용 둘로스(DOULOS) 호텔이 문을 열었다. 윤재성 둘로스 총지배인은 "동대문과 함께 청계천을 구경하려는 젊은 실속파 일본인 여성들이 주로 찾는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시에서 '모텔 골목' 주변 도로를 넓히고 공영 주차장도 마련해 주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관수동은 관광객을 겨냥한 호텔이나 기념품 전문점 거리로 점차 변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GS리테일 점포개발팀 관계자는 "관철 관수동 지역 임대료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라며 "청계천 복원으로 땅 주인이 임대료를 더 올려 달라고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관철 관수동 일대는 지난 8월 말 지구단위계획이 확정되면서 용적률이 최대 600%까지,건폐율은 5층 이하의 경우 최대 80%까지 완화돼 개발 열기가 더욱 거셀 전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7∼8월부터 하루에 한 건꼴로 투자 문의가 들어오고 있다"며 "카페 등 휴게시설과 문화 및 공공집회 장소로 개발을 유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종로구청측은 "이달 들어 강남 지역의 건축설계사무소 3∼4곳 정도가 건축 문의를 위해 다녀갔다"면서 조만간 건물신축이 잇따를 것 같다고 전했다. 동대문 지역 상인들도 청계천 복원 이후 손님맞이 준비에 한창이다. 송병렬 동대문관광특구협의회 사무국장은 "청계천변 노후 건물들을 새로 단장할 예정"이라며 "천변 보행 인구가 늘어나면 상가가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숭인동 황학동 신설동 일대의 분위기는 잠잠한 편이다. 신설동 인근 한 공인중개사 대표는 "10평짜리 오피스텔이 보증금 500만원에 월세 30만원 정도에 거래되고 있다"면서 "이쪽에선 아직까지 청계천 수혜를 찾아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숭인동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A공인 대표는 "삼일아파트 등 천변쪽 건물 대부분이 철거됐는데 무슨 시세가 있겠느냐"고 되물었다. ◆청계 3.4가 권리금 없어 기계공구 철물 조명 상가들이 밀집한 청계 3.4가는 소외 지역으로 꼽힌다. 2년여 만에 권리금 1억원이 사라질 정도로 상권이 위축돼 상인들의 어깨가 처져 있다. 서울시는 세운상가 일대는 'IT 인쇄 문화산업 전략지구'로 개발한다는 복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기계공구 철물 등의 업체에 대해선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들을 2007년 12월부터 문정 장지지구로 옮길 방침이지만 점포 이전 신청업체는 총 1만7500여개 중 2000여개(10%)에 불과하다. 서울시 관계자는 "차량 접근성 저하로 영업여건이 악화되면 자연스럽게 타 업종으로 전환되지 않겠느냐"며 "잔류 상인에 대해서는 민원 등을 받아 대책을 세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동휘·안정락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