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베이징 평양 뉴욕간 3각 외교가 추석 연휴를 앞둔 이번주에 일제히 진행된다. 13일 베이징과 평양에서 제4차 6자회담 2단계 회의와 장관급 회담이 동시에 열리고 14일(한국시간 15일) 뉴욕에서는 노무현 대통령이 유엔정상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한반도 평화체제 정착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조를 강조할 예정이다. ◆6자 회담,경수로 우회로 찾기 13일 저녁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전체 회의를 시작으로 속개되는 4차 6자회담의 핵심 쟁점은 북한의 평화적 핵 이용 권리의 허용 여부다. 구체적으로 1단계 회의 막판까지 북·미 간 줄다리기가 이어졌던 경수로 문제가 합의문 도출의 최대 걸림돌이다. 북한은 평화적 핵 이용 권리를 내세우면서 경수로는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미국은 이를 결코 용인할 수 없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의 완전한 핵폐기와 핵비확산조약(NPT)의 복귀,이를 통한 국제사회의 신뢰 회복이 이뤄질 경우 평화적 핵 이용 권리를 인정할 수 있다는 절충점을 제시한 상태다. 일단 회담 당사국들은 모두 이번 회담의 전망에 대해 "낙관도,비관도 하지 않는다"며 말을 아끼고 있다.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12일 서울을 방문,우리측과 사전협의를 가진 뒤 13일 베이징으로 출발할 예정이다. 정부 당국자는 "회담 기간이 얼마가 될지 아무도 알 수 없다"며 "경수로 문제를 우회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장관급 회담,북핵 해결 지원사격 13일부터 3박4일간 평양에서 열리는 장관급 회담은 장성급 군사회담의 재개와 경협사업의 원활한 추진이라는 '예상 의제'보다는 6자회담의 성공적 진행을 지원할 수 있는 남북 간 고위급 채널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정동영 장관도 최근 "평양에서 남북 채널이 열려 결과적으로 6자회담을 옆에서 지원할 수 있는 계기가 돼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비록 북한의 대남,외교라인이 구분돼 있긴 하지만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판단에 따라 정 장관과 재회가 이뤄질 경우 6자 회담의 장애물을 뛰어넘는 '+α' 효과가 예상된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