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민병두 의원은 3일 지역구도 타파를 위한 선거구제 개편방안의 하나로 `일률배분식 권역별 비례대표 할당제'가 여권 내에서 공감대를 얻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당 기획위원장을 지낸 민 의원은 이날 불교방송 라디오 `고운기의 아침저널'에 출연, "우리당은 기존에 중대선거구제를 당론으로 하고 있었는데, 최근에 와서는 일률배분식 권역별 비례대표 할당제가 공감대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이 방안이) 당론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민 의원이 언급한 일률배분식 권역별 비례대표 할당제는 현행 소선거구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비례대표 선출시 전국을 7개 권역으로 나눈 뒤 전국득표율에 따라 권역별로 비례대표를 배분하는 방식이다. 이는 권역별 득표율을 권역별로 배분하는 일반적 의미의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지역편중 현상 해소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른 수정안으로 풀이돼 당내 논의결과가 주목된다. 민 의원은 6일께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대표와의 회동과 관련, "대연정 자체에 대해서 진전이 크게 있을 것이라고 보지는 않는다"며 "그러나 늦어도 내년 상반기 이전에 지역구도 극복을 위한 선거법 개정을 마무리짓자는 정도의 합의는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민 의원은 이어 "한나라당이 끝까지 연정도 거부하고 지역구도 극복도 거부하면 대통령이 2선후퇴나 임기 단축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 기자 rh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