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사 논란을 일으켰던 몇몇 대학의 논술문제에 대해 교육부가 가이드라인을 소급적용하지 않고 넘어가기로 했으나 이번에 발표된 기준에 비춰보면 상당수 기출 논술문제가 본고사로 분류된다. 일부 대학의 전공 적성검사나 인성검사도 본고사로 볼 수 있어 이들 대학이 당장 눈앞에 닥친 수시2학기 논술 출제나 인성ㆍ적성 검사의 방향을 어떻게 정할지 주목된다. 31일 종로학원 등 입시학원 분석에 따르면 2006학년도 고대 수시1학기 수리 논술고사(인문ㆍ자연계 공통)의 '복소수의 성질 중에서 실수의 성질과 구별되는 것 세 가지를 찾아서 예를 들어 설명하라'는 문제는 특정교과의 암기된 지식을 묻는 문제로 분류된다. 또한 2006학년도 숙명여대 수시1학기 논술(자연계)에서는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과 파스퇴르의 생물속생설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제시문의 발견의 과정과 과학사적 중요성에 대해 서술하는 문제가 나왔다. 이 문제도 특정교과의 암기된 지식을 묻는 문제라는 것이 입시기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화여대는 2006학년도 수시1학기 수리논술고사(인문ㆍ자연계 공통)에서 '영희가 살고 있는 아파트 8층에서 남산타워의 정상을 잇는 직선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 그리고 집에서 남산의 정상을 잇는 직선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를 바탕으로 자신의 집의 해발고도를 알고 있을 때 남산타워의 높이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문제를 냈다. 논술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면 수학 과학과 관련한 풀이의 과정이나 정답을 요구하는 문제에 해당된다는 것이 학원가의 분석이다. 한양대 전공적성검사(언어사용능력)에서 나온 띄어쓰기 잘못된 것을 고르는 문제나 4가지 형용사중에 성격이 다른 것을 고르는 문제는 가이드 라인의 '단답형 또는 선다형 문제'로 분류된다. 경희대 인ㆍ적성 검사에 출제됐던 영어제시문을 이용한 간단한 수리문제는 정형화된 한가지 답을 요구하고 있어 인ㆍ적성 검사가 점수화돼 전형자료로 활용된다면 본고사로 볼 수 있다. 종로학원 박영근 평가이사는 "수시모집의 경우 내신과 대학별 고사만으로 수험생을 선발하기 때문에 내신 신뢰도가 보장되지 않는 한 대학별 고사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높을 수 밖에 없다"며 "각 대학들은 기존 수시에 실시했던 논술 형태보다는 정시에 실시됐던 논술고사의 유형을 부분적으로 수정해 활용하거나 면접 등의 전형방법을 통해 교육부의 지침내에서 우수학생을 선발하려는 자구책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했다. 유웨이중앙교육 강신창 논술팀장은 "대학들은 변별력 확보를 위해 분량을 늘려 사고의 깊이를 높일 수 있고 영어를 제외한 도표, 문학작품, 그림, 국한문 등 다양한 제시문을 통해 학생들의 이해력을 평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성한 기자 ofcours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