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가 고공행진을 계속하면서 유류세를 인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여당 내에서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유가 부담이 서민들의 가계는 물론 산업계에 적지않은 부담을 안겨주고 있는 만큼 유류세 인하에 반대하는 정부의 입장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미 제1야당인 한나라당이 유류세 10%인하를 요구하고 있는 터라 앞으로 당정 간 논란이 예상된다. 열린우리당 김혁규 상임중앙위원은 22일 상임중앙위원회의에서 "우리의 기름값은 일본이나 중국에 비해 3분의 2가량 비싸 중국이 500원하면 우리는 1500원"이라며 "최근 유가가 계속 상승해 경제와 산업활동에 부담이 되고 있는 만큼 유류세를 조정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과거 유가 상승이나 원화절상 때에는 국가가 위기관리차원에서 여러 대책을 발표했지만 이번에는 유가가 올라도 정부가 아무 대책을 취하지 않고 있어 국민들의 걱정이 크다"고 지적했다. 당내 일부 경제통 의원들도 "우리경제는 에너지 다소비형 체제로 유가는 생산성과 직결된다"며 "우리경제 구조를 감안해 유류세를 소폭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힘을 실었다. 현재 당의 공식입장은 "인하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문석호 제3정조위원장은 "세수결손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유류세 인하는 부담스럽다"며 "향후 유가추이와 산업경쟁력 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정부는 최근 당정회의에서 "유류세 인하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