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급증탓, 대출시장에 `가계>기업' 현상 발생 은행의 대출잔액에서 가계대출 규모가 사상 처음으로 기업대출액을 추월했다. 과거 은행대출은 기업의 설비.운전자금 지원에 집중돼 왔으나 외환위기 이후 외국자본의 은행산업 진출과 함께 은행들이 가계를 상대로 한 소매금융에 치중하면서 은행의 대출시장에서 가계의 비중이 기업을 능가하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말 현재 예금은행의 여신 가운데 말잔기준으로 한 가계대출 잔액은 293조3천777억원으로 기업대출 잔액 287조6천445억원을 능가했다. 평잔기준으로도 6월말 가계대출 잔액은 290조4천904억원, 기업대출 잔액은 288조8천247억원으로 가계대출이 기업대출을 추월했다. 작년말의 경우 가계대출 잔액(이하 말잔기준)은 277조7천50억원, 기업대출 잔액은 281조9천315억원으로 기업대출 규모가 4조원 정도 많았다. 그러나 올해 상반기 기업대출이 5조7천억원 증가한 데 비해 가계대출은 부동산 시장 과열로 주택담보대출이 비정상적으로 급증하면서 무려 17조1천억원이나 늘어났다. 외환 위기 이전인 1996년의 경우 예금은행의 대출잔액 가운데 기업대출 잔액은 124조원으로 가계대출 잔액 51조원의 약 2.5배 수준을 나타냈다. 기업대출이 가계대출 규모를 2배 이상 웃도는 현상은 1999년까지 지속됐으나 2000년 기업대출 198조원, 가계대출 111조원으로 가계대출이 기업대출의 56% 수준까지 쫓아갔다. 이후 기업 대출은 증가세가 계속 둔화된데 비해 가계대출은 매년 급증세를 보이면서 2003년에 가계대출 잔액이 기업대출의 92%선까지 따라잡았으며 지난해는 이 비율이 99%에 달한데 이어 올해 6월말 역전하게 됐다. 한은 관계자는 "은행의 입장에서는 대출금을 떼일 염려가 거의 없는 가계대출의 비중을 계속 높여갈 것으로 보이는데다 기업들이 당장 본격적인 투자에 나서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 가계대출 우위 현상은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예금은행의 대출금 (말잔) (단위: 10억원) ┌────────┬────────────┬────────────┐ │ │ 기업대출 잔액 │ 가계대출 잔액 │ ├────────┼────────────┼────────────┤ │ │ │ │ │ 1996 │ 124,466.4 │ 50,771.4 │ │ │ │ │ │ 1997 │ 138,198.0 │ 59,060.6 │ │ │ │ │ │ 1998 │ 140,920.2 │ 57,004.6 │ │ │ │ │ │ 1999 │ 168,115.8 │ 80,393.9 │ │ │ │ │ │ 2000 │ 197,503.7 │ 110,910.8 │ │ │ │ │ │ 2001 │ 195,906.2 │ 158,929.3 │ │ │ │ │ │ 2002 │ 241,954.0 │ 223,293.5 │ │ │ │ │ │ 2003 │ 276,848.1 │ 254,936.9 │ │ │ │ │ │ 2004 │ 281,931.5 │ 277,705.0 │ │ │ │ │ │ 2005. 6월 │ 287,644.5 │ 293,377.7 │ │ │ │ │ └────────┴────────────┴────────────┘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