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 한국은행 총재는 11일 "7월 이후의 경기동향에 대한 각종 지표와 한국은행의 자체점검 결과, 경기 회복에 대해 좀 더 확신을 갖게 됐다"며 "경기 회복이 본궤도에 진입하면 지체없이 통화정책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한은이 경기회복세가 뚜렷해지면 하반기중 금리인상을 검토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박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의 콜금리 동결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완만하지만 꾸준히 이어져온 경기회복세가 7월에는 민간소비와 생산활동이 증가하는 등 더욱 확연해지고 있다"며 "한은의 당초 예상대로 소비와 투자 등 내수 증가가 수출 둔화를 상쇄하면서 경기회복세를 점차 확산시켜 나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다만 경기 회복이 얼마나 빠른 속도로 진행되느냐가 관건"이라며 "한은은 이같은 경기회복 추이에 깊은 관심을 갖고 시장을 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통위 결과를 설명하는 박 총재의 모두발언문에 시장을 주시하겠다는 내용이 들어간 것은 금리인상론이 본격 제기된 이후 처음이다. 그는 "하지만 금리 인상은 경기, 물가, 기업.가계로의 자금 배분, 체감경기, 부동산 시장 등의 문제와 복잡하게 연관된다"며 "이 모든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현재 한.미간 정책금리 역전에 따른 자금 유출을 전혀 우려하지 않고 있다"며 "이같은 우려가 현실화되면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저금리 기조가 고용유지와 기업성장 등에 크게 기여했다고 본다"며 "다만 장기간 저금리체제가 유지되면 자산시장의 거품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은 시인한다"고 말했다. 박 총재는 "금리 결정 과정에서 부동산시장을 고려하지만 여러가지 고려 대상 중 하나일 뿐 주요 고려 대상은 아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spee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