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1일 열린우리당과 주무부서 책임자들이 참석한 당정 워크숍에서 문화관광부가 간접광고와 가상광고를 허용한다는 방침을 공개했다는 사실이 보도가 나와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문화부가 3일 주례 브리핑에서 입장을 밝혔다. 송수근 문화관광부 방송광고과장은 "서비스장관 회의 때 10월 안으로 방송광고 규제 문제를 개선하자는 방침이 마련돼 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팀을 운영해왔으며, 최근 한류 열풍에 힘입어 국내 TV 드라마가 일본ㆍ중국ㆍ동남아 등으로 활발히 수출되면서 간접광고를 허용하면 우리 제품이나 브랜드 홍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돼 제한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음성적으로 이뤄져온 간접광고를 시간과 횟수와 노출 정도 등 일정한 기준을 정해 양성화하는 효과도 있다고 본다"면서도 "현재 태스크포스팀에서 나온 여러 의견을 토대로 검토중이며 법 개정이 필요할 경우 방송위원회와도 협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협찬 노출'이라는 용어에 대해서는 "드라마 속에 제품을 노출시켜 부분적으로 광고 효과를 얻는 PPL(Product Placement)을 해석한 용어로 제안 수준일 뿐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최근 한나라당 이재웅 의원이 일부 언론에 문화부가 제출했다는 '실무 당정 워크숍 토의자료'를 공개하자 몇몇 신문을 중심으로 비판론이 일면서 간접광고 도입 여부가 논란을 빚고 있다. 문화부는 김상훈 인하대 교수, 김윤택 한국방송협회 기획조사팀장, 김영주 한국언론재단 연구위원, 손병기 중앙일보 광고본부 이사, 정연우 광고소비자시민연대 공동대표로 구성된 광고제도개선소위원회와 김민기 숭실대 교수, 박현수 단국대 교수, 김기원 한국광고주협회 사무국장, 박찬표 한국방송광고공사 연구위원, 신태섭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정책위원장이 참여하는 미디어렙소위원회를 운영해왔다. 참석 위원들에 따르면 광고제도개선소위에서는 중간광고는 제외하고 간접광고와 가상광고의 도입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미디어렙소위는 민영 미디어렙 신설 여부를 놓고 공방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heey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