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사(이하 이통사)의 디지털 음원시장 진출과 휴대폰 음원수익금 배분과 관련해 가수ㆍ음원제작자들과 이동통신업체들이 서로의 입장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한나라당 정책위원회ㆍ문화예술특별위원회는 3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침체의 늪에 빠진 음반시장, 어떻게 살릴 것인가'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음원제작자의 몫은 5%에 불과 = 첫번째 발제자로 나선 가수 강원래는 "음반시장은 2000년 4천억원에서 현재 1천억원으로 줄었지만 온라인 음원시장은 약 2천500억원으로 성장했다"며 "그러나 가수들은 오프라인 판매량보다 적은 금액을 음원사용료로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통화연결음의 경우 데이터통화료까지 합해 수익금의 90% 정도가 이통사와 CP(Contents Provider)에게, 5% 남짓한 액수가 음원제작자에게 돌아가는 현실"이라고 말하고 "이통사 서비스부문에서 음악은 주력 콘텐츠인 '킬러콘텐츠'"라며 "이통사의 투자 부분은 인정하지만 독과점 형태는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국민대 윤용근 교수는 두번째 발제에서 "이 문제는 음반ㆍ음원사업의 문제가 아니라 디지털기술인 산업과 콘텐츠인 문화의 충돌로 인한 문제로 봐야 한다"며 "필요한 입법의 입안 등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 교수는 이통사 3사에 "보다 거시적ㆍ장기적인 관점에서 휴대폰 음원서비스를 포함한 이동통신사업 관련 이해관계자가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휴대폰 음원시장 탓 아니다 = 이어진 토론에서 SK텔레콤 신원수 뮤직사업팀장은 "발제에서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다"며 "통화연결음과 벨소리 모두 수익금의 35-39%를 순수한 음원사용료로 지불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데이터통화료까지 음원제작자쪽과 나눠야한다는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신 팀장은 "이통사로 인해 음반시장이 붕괴됐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며 "기존 음반시장을 대체하고 있는 디지털음원 불법복제ㆍ유통이 주된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또 "그나마 유료화를 기반으로 한 휴대폰 음원시장을 문제라고 지적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반박했다. 이에 한국음원제작자협회 서희덕 회장은 "음악소비자들의 성향이 소장 형식에서 소비 형식으로 변화하면서 휴대폰으로 음악을 듣는 것이 현실"이라고 전제하고 "최근 이통사가 음반시장에 뛰어들고 유무선 음원통합서비스를 실시하면서 이들을 중심으로 온라인 음악시장이 재편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안인용 기자 djiz@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