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0일 전방부대 총기난사 사고와 관련해 한목소리로 인책론을 제기했다. 특히 야당은 정부의 안보 불감증을 거론하며 국방장관의 사퇴와 안보청문회 추진을 요구하는 등 공세의 수위를 높였다. 열린우리당 문희상 의장은 당 상임중앙위에서 "이번 사고를 접하면서 군내에 총체적 기강해이가 있는 것은 아닌지 국민과 함께 깊은 우려를 금할 수 없다"며 "철저한 응분의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문 의장은 "최근 빈발하는 군 관련 사건사고에 대해 국민과 국토를 지켜야 할 군대를 두고 많은 국민들이 오히려 군을 걱정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며 "유사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전면적이고 근원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세균 원내대표는 "근본적으로 병영문화를 개선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군의 총체적인 안보태세 붕괴사건으로 규정하고 안보청문회 개최를 추진키로 했다. 국방부장관 해임건의안과 내각 총사퇴 결의안을 제출하자는 주장도 나왔다. 박근혜 대표는 "있을 수 없는 충격적 참사"라며 "책임이 있는 곳은 책임을 묻고 재발방지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재섭 원내대표는 "(정부가) 계속 정신을 못 차리면 국방장관 해임이나 내각 전체의 책임으로 번질지도 모른다"면서 "정부와 여당의 태도를 봐가며 한나라당이 문제를 바로잡겠다"고 경고했다. 맹형규 정책위의장은 "징병제를 골간으로 한 시스템을 중장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며 국방시스템 전반을 검토할 특별기구를 제안했다. 여야 의원들은 국방위에서도 사병 관리 허술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군 당국을 질타했다. 이재창·홍영식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