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범 < 산업자원부 장관 > 한국의 국가별 GDP(국내총생산) 순위는 11위다. 그런데도 국제투명성기구의 부패인식도 지수는 2004년 현재 145개국 중 47위.그러나 기업 분야에서는 국내 30대 기업 중 70%,500대 기업 중 60%가 기업윤리 강령을 마련하고 실행하기 시작해 다행이다. 지난 3월에는 국내 사회 각계 각층이 참여해 '투명사회 실천협약'을 체결하고 경제단체와 대기업을 중심으로 경제부문 실천계획을 발표했다. 이처럼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SR)'에 대해 실천 의지를 보인 것은 큰 진전으로 여겨진다. 현재 세계는 정부와 기업 국제기구들이 모두 나서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표준 제정 작업을 시작했다. 여기서 SR란 각 조직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생산성 제고,윤리경영,인권보호,환경보호에 힘쓰는 것을 말한다. SR경영은 △이미지와 명성 제고 △신용등급 향상 △임직원의 동기 부여 △재무구조 개선 등 조직의 전반적인 활동과 여건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최근 세계적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 경영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높이고 시장경쟁력을 강화시켜 나가고 있다. 물론 사회적 책임의 실현 여부는 기업을 포함한 모든 조직이 스스로 추진해야 할 과제다. 그러나 사회적 가치 창출과 아울러 사회문제 해결을 통해 국가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정부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 산업자원부는 먼저 기업가 정신을 제고해 기업 친화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협력을 이루도록 자발적인 사회적 책임 경영을 확산시켜 나갈 방침이다. 사회적 책임 구현을 위해 범국가적 합의를 도출하고 글로벌 스탠더드 개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SR표준화포럼'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SR표준화포럼이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조직들에 사회적 책임 경영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SR 표준이 우리 사회 조직 전반에서 경영도구로 활용돼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고 동반 성장을 통한 선진국가 달성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