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산업의 구조 고도화와 지역 경제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서는 실물경제와 함께 지역경제를 이끌어가는 중요한 성장 축인 지역금융이 활성화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진병용 대구은행 금융경제연구소장은 19일 대구벤처센터 대회의실에서 대구신용보증재단 주최로 열린 세미나에서 '대구.경북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금융의 과제'란 주제발표를 통해 "금융산업 구조조정이 대형화 중심으로 추진되다 보니까 수도권보다는 지방의 금융기관들이 훨씬 더 많이 줄어든 결과를 가져왔다"고 지적했다. 진 소장은 "이로 인해 대구.경북지역에서는 98-2004년 중소기업 전담은행(대동은행) 1개와 생명보험사와 투신사 각 1개, 종합금융회사 3개가 없어지고 신협, 새마을금고 등 서민저축금융기관의 점포수도 739개에서 462개로 37.3%나 감소해 금융의 수도권 집중과 지방금융의 위상저하가 더욱 뚜렷해졌다"고 말했다. 진 소장은 "이에 따라 지난해 말 현재 전체 금융기관 예수금과 대출금의 2/3와 실물경제 이면에서 이뤄지는 금융 활동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어음교환액의 92%를 수도권이 차지하고 있다"며 "대구.경북지역의 경우 실물부문의 전국 비중은 10-13%, 금융의 전국 비중은 7%대에 불과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중추관리 기능과 정보가 집중된 수도권으로 지역자금이 유출되는 파행적인 자금순환구조가 갈수록 심화하면서 대구.경북은 물론 우리 나라 전체 지방금융의 총량 규모가 작아 지역 중소기업과 영세소기업들이 원활하게 성장해 갈 수 있도록 뒷받침해 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진 소장은 "실물경제와 함께 지역 경제를 이끌어가는 중요한 성장 축의 역할을 맡고 있는 지역금융이 활성화되지 않고서는 지역산업의 구조고도화나 지역 경제의 풍요롭고 균형 있는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앞으로 직접 금융시장과 간접 금융시장이 더욱 체계적으로 구축돼 선진화돼야 하고 재정과 금융 간에도 역할분담과 상호보완 기능을 높여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 소장은 "현 정부의 핵심 국정추진 과제의 하나인 지방분권 정책이 성공적으로 뿌리내리고 국가균형 발전을 위해서는 지방금융 활성화 방안들을 적극 검토해 정부시책으로 입안,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위한 대책으로 "지역 혁신금융시스템과 분권적 금융시스템 구축, 지역금융 역할에 대한 정부의 재인식과 정책적인 배려, 지역 금융기관과 중소기업 지원기관의 기능과 역할 강화, 지역 신용보증재단 기능 강화, 지역 금융기관에 대한 차별적 규제 철폐, 지역 금융기관의 재무지표를 비롯한 회계기준, 기업지배구조, 공시, 경영시스템 등 제 부문에서 선진기준 구축" 등을 제시했다. 이종욱(서울여대 경제학과)교수는 '지역금융의 현황과 과제'란 주제발표를 통해 "지역금융은 지역주민, 지역기업 및 지역공공단체 등의 금융수요에 부응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위"라고 규정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경제와 지역금융 간 연계가 강화돼야 하며 전국금융에 의존하는 형태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한국에서 지역금융은 경제개발과 더불어 빈곤퇴치, 지역발전 등을 위한 주민들의 자발적 조직으로 발전하지만 외환위기와 금융구조조정을 거치면서 지역금융이 몰락.축소되고 있다"며 "이는 은행 등 전국금융에서 외면하고 있는 지역의 중소기업, 소상공인 및 영세서민의 금융접근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전국금융은 지역금융이 키우고 지역에서 성장한 우량 중소기업 및 상공인들을 유치해 가는 '우량고객 솎아가기(cherry-picker)'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의 소기업이 중기업, 대기업으로 성장하게 되면 자연히 전국금융이나 지방은행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며 "따라서 전국금융에 대해 미국의 지역재투자법처럼 지역사회 기여도에 따라 영업혜택을 주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대구=연합뉴스) 임상현 기자 shl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