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금리에 따라 일정한 주기(週期)로 여·수신금리가 바뀌어 적용되는 변동금리상품 비중이 크게 높아지면서 금융회사들이 떠안았던 금리 변동 리스크가 가계로 급속히 이전되고 있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금리 변동에 따른 부담을 금융소비자가 져야 하는 은행의 변동금리부 대출 비중은 지난 2003년 71.6%에서 2004년에는 84.1%로 높아졌다. 올들어 이같은 현상은 더욱 심화돼 지난 3월 새로 발생한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부 대출 비중이 85.4%에 달했다. 생명보험회사의 금리연동형 보험 판매 비중(수입보험료 기준)도 2002년 37.4%에서 작년에는 44.7%로 매년 높아지는 추세다. 또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실적배당 상품인 보험사의 변액보험과 자산운용사의 수익증권 판매가 크게 늘고 있다. 보험사가 판매하는 변액보험 판매 규모는 2003년 8399억원에서 지난해에는 1조9155억원으로 급증했다. 투신사 수익증권(MMF 포함) 판매 실적도 지난해 45조2000억원 증가한 데 이어 올들어 3월 말까지 5조8000억원가량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억대출,금리 1%포인트 오르면 연간 이자 200만원 추가 금감원은 작년 말 현재 은행의 가계대출 규모(301조4000억원)에서 변동금리부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84.1%)을 감안하면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경우 연간 가계부문의 총 이자 부담은 2조5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금리 변화에 따른 위험(리스크)이 가계부문에 전가된 셈이다. 개인이 주택을 담보로 은행에서 2억원의 자금을 변동금리로 빌렸을 때 시장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연간 이자 부담은 200만원 정도 늘어나게 된다. 미국 등 해외 금리가 상승세를 타고 있는 데다 하반기 국내 금리도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어서 변액보험이나 수익증권에 투자했던 금융소비자들도 만기가 돌아왔을 때 당초 예상했던 수익을 보장받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 특히 금리가 상승세를 탈 경우 가계의 이자 부담이 급증해 카드대란 때와 마찬가지로 이자를 제때 내지 못하는 가계가 속출,금융 불안이 야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금리변화 부담 정확히 알아야 금융 전문가들은 국제결제은행(BIS)의 자기자본규제 등 건전성 규제 강화 영향으로 금융회사들이 앞으로도 금리 리스크를 피할 수 있는 변동금리부 대출을 늘릴 것으로 보고 있다. 은행이 변동금리로 돈을 빌려줄 경우 대출금액의 8%만 자기자본으로 갖고 있으면 되지만 고정금리로 대출하면 스와프거래에 따른 신용환산율을 감안한 자기자본을 추가로 보유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융소비자들은 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이 어느 정도 늘어나는지를 정확히 알아두는 등 리스크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박동순 금감원 거시감독국장은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을 줄이려면 차입금 일부를 고정 금리 형태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금융회사도 고객에게 금융 관련 리스크 정보를 충분히 제공,고객이 자기 책임 하에 신중한 금융거래를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금감원 관계자는 덧붙였다. 이익원 기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