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탄도미사일이 일본을 향해 발사됐다" 북한이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지난 1일 미군이 이런 정보를 통보해와 한때 일본 정부가 발칵 뒤집히는 긴박한 상황이 벌어졌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14일 보도했다. 미군은 30분후 궤도 계산을 잘못하는 바람에 빚어진 실수라며 정보를 수정했다. 일본 정부내에서는 미국 정부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과민하게 반응하는 이유를 의아해하는 목소리도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아사히에 따르면 미사일 발사 첫 정보가 일본 정부에 전해진 것은 1일 오전 8시30분께였다. 미군의 연락을 받은 방위청이 내각관방을 비롯한 총무성, 외무성 등 관계부처에 긴급 연락을 취했고 노동절 휴일이었지만 연락을 받은 간부들이 황급히 출근하면서 정부내에 긴장감이 감돌았다. 그러나 30분후 관계자에게 `취소'정보가 전달됐다. 궤도를 다시 계산한 결과 미사일이 일본을 향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다는 이유였다. 게다가 일본 정부관계자에게 미사일 발사 제1보가 전해진 오전 8시 30분께는 미사일이 이미 동해바다에 낙하한 후였다. 이런 `오보'는 과거에도 여러차례 있었다. 내각관방의 한 간부는 "일방적인 통보라 다시 물어볼 수도 없다"면서 "연락방법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부처별로 소집한 간부의 직급과 수도 제각각이었다. 이런 통보시스템은 98년 8월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만들어졌다. 미국이 보유하고 있는 지구궤도상의 조기경보위성 적외선 센서가 미사일 발사시에 나오는 열원(熱源)을 탐지, 궤도를 계산해 일본쪽을 겨냥한 것으로 밝혀지면 방위청에 통보한다. 방위청은 미리 정해진 관계부처에 연락하도록 돼 있다. 일본 정부내에서는 "정보가 들어오는 문은 개방해둘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강해 연락시스템 자체는 유지하되 위기수준에 따라 연락처를 달리하거나 방위청의 보고에 정부의 대응지시를 추가해 연락하는 등 운용 일부를 수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 정부 고위관계자중에는 제1보가 전해진 당시 이미 "정말 탄도미사일일까"라며 의문을 표시한 사람도 있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북한이 탄도미사실을 실험발사할 경우 사전에 주위를 항해하는 어선에 무선으로 경고가 전달된다. 무선감청을 담당하는 방위청 정보본부의 사전보고에 '무선의 혼선상태'는 없었다. 이런 사실을 근거로 방위청 간부들은 "별 것 아닌 실험"으로 판단했다. 일본 정부는 이번 미사일의 사정을 최대 120㎞ 정도로 보고 있다. "특별히 떠들어댈 일은 아니다"(호소다 관방장관)라며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이다. 자위대 간부도 "자국군에서 멀지 않은 곳에 떨어질 미사일에 핵탄두를 장착한다는 건 생각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반면 미국 정부는 대단한 경계심을 보이고 있다. 롤리스 미국 국방부 부차관은 미국을 방문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자민당 간사장대리에게 "신형 시스템의 하나인 것 같다"고 말해 단거리 신형탄도미사일일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를 밝혔다. 일본 정부내에서는 "미국이 왜 이렇게 심각하게 떠들어대는지 모르겠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그렇지만 정식으로 검토회의를 열기에는 "미국의 정보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없어 쉽지 않은 상태"(내각관방 간부)다. 현재로서는 ▲서울남쪽으로 이전할 주한미군이 사정에 들어가기 때문 ▲핵문제가 악화되자 북한에 대한 압력강화가 과민반응의 이유라는 해석이 많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도쿄=연합뉴스) 이해영 특파원 lh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