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운영하는 자치정보채널 'TV서울'의 프로그램 제작과 편성에 대해 방송위원회가 공정성 문제점을 지적했다. 2일 방송위에 따르면 지난 3월 4일 개국한 TV서울의 1개월간 편성내용을 분석한 결과 지방자치단체 역점사업과 관련한 내용의 편성이 너무 잦은 것으로 조사됐다. 방송위는 TV서울 편성책임자에 대해 사업계획 등의 이행 촉구 및 유의사항을 전달했으며 이례적으로 개국 1개월 만에 이행 여부를 점검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정한근 방송위 방송콘텐츠부장은 "전반적으로 성실히 이행되고 있다고 보이지만 프로그램의 공정성과 관련돼 우려되는 부분들이 노출되고 있다"고 말했다. 방송위는 분석 보고서에서 서울시의 역점 추진 사업인 뉴타운 사업과 청계천 복원 사업 등 시정 홍보성 내용이 다수 프로그램에서 소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방송위는 TV서울이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등록을 신청했을 때 "지방자치단체장이 선출직이므로 정치적 중립성 시비가 있을 수 있다"는 등의 문제를 검토하느라 등록 처리 시한을 넘겨 지난 1월 통과시킨 바 있다. 시정 홍보성 편성에 대해 방송위는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사업이라고 하더라도 이해당사자가 발생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일방적인 전달이 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하며 단체장 치적 중심의 구성이 되지 않도록 제작시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방송위는 또 TV서울 프로그램의 문제점으로 종합생활 또는 시정정보 프로그램의 보도 지향성을 문제삼았다. 방송위는 "정치와 국방 관련 뉴스는 보도되고 있지 않지만 TV서울의 주 공급 분야인 지방자치정보로 보기 어려운 경제일반과 사회일반 등의 소식이 다수 포함됐다"며 "종합생활ㆍ시정정보 프로그램의 일부 코너에서는 보도형식과 유사하게 방송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방송위는 "지방자치정보에 한해 제공하는 것이 등록 분야에 부합될 것"이라며 "티커(Ticker:증권시세표처럼 뉴스가 화면에 자동으로 실시간 표시되는 시스템)의 경우 노출되는 절대량이 많아서 중지 또는 일부 프로그램에 한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방송위는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PP의 정책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해외사례 등을 바탕으로 오는 11일 토론회를 개최키로 했다. 정한근 방송콘텐츠부장은 "뉴욕과 워싱턴, 도쿄, 베이징 등이 운영하는 시정정보 프로그램이 주요 해외사례로 참고될 것"이라며 "이들의 경우 시정 정보와 안내 위주로 편성돼 TV서울과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시 교통국 산하 교통방송의 TV국에서 운영하는 TV서울은 지방자치단체로서는 처음으로 직접 PP로 등록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준억기자 justdus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