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폭력 근절을 위해 검찰과 경찰은 물론, 국정원과 교육부, 재경부와 국세청, 관세청 등 7개 정부 부처와 시민단체까지 연계한 조직폭력 대책단이 본격 활동에 나섰다. 대검찰청은 29일 학교폭력ㆍ조직폭력ㆍ사이버폭력ㆍ정보지폭력 등 4대 폭력 근절대책 마련을 위해 관계부처 공무원 7명과 시민단체 대표 등 민간위원 3명으로 구성된 `조직폭력 대책단(단장: 대검 차장검사)' 1차회의를 개최하고 5월부터 관계부처 합동으로 대대적 단속활동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학교폭력과 조폭간 연계는 교육부가, 조폭의 금융ㆍ증권ㆍ환치기 범죄는 재경부가 단속하며 국정원은 국제범죄 정보를 수집해 해외 조직과 연계 차단에 나서게 된다. 조폭들의 유흥업소 상납금 갈취 등 치안분야에서 드러난 피해에 대해서는 경찰이 단속을 벌이고 주가조작ㆍM&A(기업인수합병) 등 지능적ㆍ시장지향적 범죄는 검찰이 주로 단속하게 될 것이라고 검찰은 밝혔다. 이번에 구성된 조직폭력 대책단은 조폭 추방운동의 큰 틀을 제시하게 되며 개별 사건 수사시 관계기관이 공조하는 한편 수사 문제점과 실태를 파악ㆍ분석해 분기마다 1차례 이상 모여서 회의를 열기로 했다. 대검찰청은 조폭 근절대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대검찰청에 조폭사범 합동수사본부(본부장: 대검 마약ㆍ조직범죄부장)를 설치하고 일선 지방검찰청 및 지청에는 조폭 지역대책단 및 조폭사범 지역합동수사부를 설치해 국세청과 재경부, 금융정보분석원(FIU) 등 관계기관과 함께 조폭 근절대책을 수립키로 했다. 과거 마약ㆍ총기ㆍ인신매매 사범을 단속하던 민생침해사범 합동수사반의 업무 가운데 조폭 대책 문제를 따로 떼어 맡게 되는 조폭사범 합동수사본부는 2007년까지 3년간에 걸쳐 심층적인 단속을 벌이며 1차적으로 올해 12월까지 강력한 소탕작전을 벌이기로 했다. 검찰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더 이상 국제조폭 청정(淸淨)지대가 아니며 조폭 대책단 활동을 민관합동의 국민운동으로 승화시킬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해 전국적으로 조폭들의 활동영역과 피해실태 등을 파악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상희 기자 lilygardene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