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장이 혼잡할 경우 운전자의 80%가 장애인 전용 주차장을 이용하고 싶은 유혹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전문 시민단체 `교통문화운동본부'(대표 박용훈)가 12일부터 나흘간 서울에서 600명(장애인 100명ㆍ비장애인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8%가 이같은 유혹을 느낀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유혹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한 운전자 중 `부득이한 경우'에 느꼈다는 운전자가 51%로 나타났지만 `항상 주차하고 싶다'는 운전자도 27%로 조사됐다. `장애인 전용주차 위반시 제재조치에 대해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5%가 `알고 있다'고 답했고 `모른다'는 대답도 45%에 이르렀다. 실제로 위반 경험이 있는 운전자도 27%에 달했다. 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1%가 중증 장애인과 보행이 가능한 장애인을 구분해 주차구역을 이용하는 개정 법률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했지만 실제로 70%가 위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차량이 전용주차구역에 주차했을 경우 장애인의 86%가 다른 일반 주차공간을 이용한다고 대답했다. 이 수치는 일반 차량이 장애인 전용구역에 주차하는 바람에 장애인이 어려움을 겪은 사례가 많다는 것을 반증해 단속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편 관공서ㆍ병원ㆍ대형 할인마트 등은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이 항상 번잡한 반면 영화관ㆍ놀이공원 등은 장애인의 이용률이 낮아 비어있는 경우가 많아 주차구역 설정의 효율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장애인의 날을 맞아 전체 주차 면수의 2∼4%를 장애인 전용 주차장으로 만들어야 하는 주차장법 시행령(제6조 1항)의 효율성과 실태 및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됐다. 교통문화운동본부는 조사 결과와 추가적인 현장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을 마련해 서울시 및 지방자치단체에 건의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홍제성 기자 js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