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회복이 불투명해지면서 투자처를 찾지못한 시중자금이 다시 투신사 머니마켓펀드(MMF)로 몰리고 있습니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투신사 MMF는 지난 2월 6조8300억원의 자금이 몰린데 이어 3월에도 1조1600억원이 늘었고 이달 들어서도 12일 현재 3조8100억원 급증해 올들어 순증액이 13조원을 넘어선 반면 은행의 장기성 예금이나 채권형 상품은 여전히 부진한 모습입니다. 지난해 급증세를 보였던 투신사 채권형 펀드는 올들어 대규모로 자금이 빠져나가 1월에 2.1조원, 2월에 4조원, 3월에 3.6조원 등 10조원 가량이 감소했습니다. 은행 수신도 장기성 예금이 늘지 않자 은행들이 CD 발행 등으로 단기수신을 크게 늘려 빠르게 단기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저축성 예금은 1월에 5.7조원 급감한 뒤 2월에는 대부분 회복했지만 3월에 2.9조원이 줄고 이달들어 2.7조원 늘어나는 등 불규칙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달 법인세 납부로 3조원 이상 급감했던 실세요구불 예금도 정부의 재정지출에 힘입어 이달들어 1조원정도 증가했지만 규모는 부진한 상황입니다. 반면 1월에 1.1조원 정도가 상환됐던 CD는 2월 2.5조원, 3월 1.6조원, 이달에도 2000억원이 순발행되어 단기 시장성 수신이 올들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주 한은 금융협의회에 참석한 국내 시중은행장들은 "시중자금이 MMF 등에 몰리며 부동 자금화되고 있다"며 "투자처를 찾지 못하는 자금들이 기업 설비투자자금으로 흘러가는 것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들은 또 "정부의 확고한 부동산시장 안정의지를 감안할 때 부동산시장으로의 이동을 우려하지는 않아도 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적립식 펀드 등을 통해 주식시장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습니다. 차희건기자 hgcha@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