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들어 지난 2월까지 늘어난 일자리 규모가 지난해의 25% 수준에 그쳐 일자리 창출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재정경제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과 2월의 작년 동월 대비 취업자 증가수는 각각 14만2천명과 8만명이었고 월 평균으로는 11만1천명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1∼2월 평균 취업자 증가수 44만1천명의 25.2%에 불과하고 올해 4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정부의 목표에도 훨씬 못미치는 수준이다. 연간 40만개의 일자리 창출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월 평균 취업자 증가수가 40만명을 유지해야 한다. 연령대별 월 평균 취업자 변화 추이를 보면 15∼19세(-2만5천명), 20∼29세(-6만7천500명), 30∼39세(-9만4천명) 등 40세 미만의 젊은층은 지난해보다 취업자가 감소했다. 하지만 40∼49세(5만2천명), 50∼59세(17만4천명), 60세 이상(7만1천500명) 등중.장년층은 지난해보다 취업자가 늘어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30대 이하 젊은층의 인구 자체가 줄어들고 있어 취업자 수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LG경제연구원의 신민영 연구위원은 "경기의 성장세가 지난해보다 좋지 않기 때문에 고용 상황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하반기들어 경기가 회복되면 비정규직을 중심으로 일자리 창출 속도가 상반기보다 빨라지겠지만 연간 40만개의 일자리 창출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재경부 관계자는 "고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내수경기 회복이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고 지난해 1∼2월 취업자 증가 규모가 많은 편이어서 상대적으로 올해 취업 상황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시점은 확실하지 않지만 내수경기 회복이 본격화되고 기업들이 투자를 늘리면 고용상황도 좋아질 것"이라며 "정부는 연간 40만개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원기자 lees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