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의 유료화 논란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 지상파 DMB 사업자들이 투자 지원에 대해 한목소리를 냈다. 14일 '디지털뉴미디어포럼'(공동위원장 국회의원 변재일, 심재철, 류근찬)이 국회 귀빈식당에서 개최한 정책토론회에서 지상파 DMB 사업자들은 지하철과 지하공간 등 이른바 '음영지역' 해소를 위한 중계망 구축 등에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다며 정부의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고민철 MBC 기획실장은 "음영지역에 대한 중계망 구축 비용은 방송발전기금이나 정보화촉진기금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방송위원회와 정보통신부에서 지원한다면 당연히 무료화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남기 SBS 기획본부장도 "방송위는 지상파 DMB 사업자를 허가하는 데서 역할을 끝내서는 안되며 성공하는 데까지 책임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음영지역 해소를 위해서는 이동통신사나 방송발전기금, 정보화촉진기금 등 여러 도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고광남 YTN 총괄상무 역시 "지상파 DMB는 공익성이라는 이념적 문제가 있지만 사업자 입장에서 어떻게 지원이 가능한 것인지 논의할 필요가 있다"며 "유료화 주장이 어렵지만 수익자 부담이 자연스럽게 받아질 수 있는 부가서비스는 유료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포럼의 공동위원장인 변재일 의원(열린우리당)은 "사업자 허가 조건대로만 이행을 강조해서는 신규서비스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방송위와 정통부의 적극적 진흥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변 의원은 "지상파 DMB 사업자들이 정부 지원금을 받기는 힘들 것"이라며 "남이 도와주기를 바라지 않고 수익성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포럼에 참석한 이동통신사 관계자들은 지상파 DMB 유료화와 관련, 사업자들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병철 LG텔레콤 상무는 "방송사는 광고 수익이 있고 단말기 제조사는 판매 수익이 있지만 이동통신사의 경우 수익모델이 전혀 없으며 오히려 DMB 서비스로 기존 데이터 서비스의 매출 감소가 나타나 손실을 보게 된다"며 사업자의 비용 보전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원진 KTF 상무 역시 "수도권 지하철과 건물 지상층 실내 수신을 위한 갭필러(중계기) 투자규모는 500억원, 전국으로 확대하면 2천억원이 필요하며 연간 운용비용은 수도권 150억원, 전국확대시 500억원이 필요하다"고 밝히고 "공적기금을 계속 사용할 수 있는지는 생각해봐야 할 문제"라며 사업자의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정태철 SK텔레콤 상무는 "자회사인 TU미디어를 통해 위성 DMB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지상파 DMB 중계망까지 투자하기는 어려움이 많다"고 밝혀 중계망 투자에 참여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준억기자 justdus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