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부처의 전자정부 수준을 진단한 결과 부처간 수준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는 지난해 12월부터 두 달간 43개 중앙부처의 전자정부 수준을 진단한 결과, `일하는 방식'은 평균 63점, `대민 서비스'는 73점, `정보자원관리'는 82점을 각각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해당 부처별 담당자 인터뷰와 설문지 등을 통해 이뤄진 이번 조사에서는 정보기술(IT)을 활용해 행정업무 혁신과 대국민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이룬 부처들이 선발됐다. `일하는 방식'에서 전자정부 수준이 높은 부처로는 정보통신부, 행정자치부, 조달청, 특허청 4개 부처가 뽑혔고, `대국민서비스' 수준이 높은 부처로는 정통부, 해양부, 관세청, 특허청 4개 부처가 선발됐다. 정통부, 법무부, 행자부, 기획예산처, 해양수산부, 통계청, 조달청, 관세청, 기상청, 특허청, 농촌진흥청, 국방부, 경찰청, 산림청 등 14개 부처는 `정보자원관리'가 우수한 부처로 평가됐다. 하지만 각 부처의 전자정보 수준 격차는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하는 방식'에서 최고 점수를 받은 부처(96점)와 최저 점수를 받은 부처(31점) 사이의 점수 차이가 65점에 달했고, `대민 서비스'와 `정보자원관리'에서 그 차이는 각각 48점, 33점이었다. 위원회 관계자는 "분야별 우수사례를 선정, 공유해 부처별로 뒤떨어진 분야의 전자정부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안승섭 기자 ssahn@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