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재해로 번진 양양지역 산불을 계기로 산림청 산불진화 헬기의 대형화 문제가 시급한 현안으로 다시 부각되고 있다. 6일 산림청 산림항공관리소 강릉지소와 군부대 등에 따르면 지난 5일 산불이 발생한 양양, 고성지역에는 중형 1대와 대형 14대, 초대형 2대 등 17대의 산림청 진화헬기와 군용 CH-47(일명 시누크) 4대 등 모두 21대의 헬기가 투입됐다. 산림항공관리소가 보유하고 있는 진화 헬기와 항공기는 모두 41대 이지만 순간최대 풍속이 초속 27.5m까지 기록되는 상황에서는 대형헬기를 제외한 소형이나 다른항공기는 산불 진화에 투입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소방헬기와 지자체가 임차한 진화헬기도 강풍으로 인해 사실상 무용지물이었다. 군부대도 이날 UH-60과 UH-1H 등 17대의 헬기를 투입할 계획을 세웠으나 CH-47을 제외한 나머지는 강풍 때문에 출동시키지 못했다. 산림항공관리소 강릉지소에 따르면 규정상 대형헬기도 초속 15m를 넘으면 안전상 운항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양양 산불을 비롯해 동해안에서 발생한 모든 산불이 강풍을 동반한 초대형 산불로 이어지는 추세에 있고 이 같은 상황에서는 대형헬기에 의존하는 것 이외는 별다른 대책이 없다는 것이 입증되면서 산불진화 헬기의 대형화 문제가 시급히해결되어야 할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실제로 산림청은 전국적인 산불에 장비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대형헬기 26대 가운데 절반이 넘는 17대를 양양과 고성지역에 투입했는데도 불구하고이번 산불은 강풍으로 인해 낙산사를 잿더미로 만드는 등 대형 산불로 이어졌다. 이에따라 산림항공관리소는 "오는 2006년까지 보유 항공기를 50대로 늘리는 계획을 진행중"이라며 "강풍에 대비한 대형과 초대형 헬기 도입은 예산 문제가 수반되는 일인 만큼 장기적, 복합적으로 검토해야 할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이에대해 대형산불 노이로제에 걸린 영동지역 주민들은 "대형헬기가 많으면 강풍이 불어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 아니냐"며 "정부는 전폭적으로 예산을지원, 대형 헬기 추가 도입을 통해 산불 발생시 초기진화에 적극 나서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속초=연합뉴스) 이종건 기자 mom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