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기업들의 올해 설비투자 증가율이 작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非IT(정보통신)업종의 설비투자는 작년보다 늘어나고 내수업종의 설비투자도 크게 확대될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산업은행이 77개 업종 2천828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올해 설비투자 계획은 작년보다 14.4% 증가하는데 그쳐 작년의 실제 설비투자 증가율 29.7%에 비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 보면 지난해 43.2% 증가했던 제조업은 올해 설비투자 증가율이 13.9%로 대폭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으며 특히 IT업종은 작년 72.8%에서 6.8%로 크게 위축될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철강, 자동차, 석유화학 등 非IT업종은 작년 증가율인 16.7%보다 높은 23.4%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매출액중 수출비중이 50% 이하인 내수업종의 투자는 지난해 0.3% 증가에 그쳤으나 올해에는 24.9% 증가할 것으로 나타나 내수회복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분석됐으며 수출기업 투자 증가율은 작년 64.3%에서 10.6%로 대폭 둔화될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이 작년의 45.9%의 3분의 1에도 못미치는 14.5%, 중소기업도 작년의 3.8%보다 낮은 2.3% 증가에 그칠 것으로 각각 조사됐다. 비제조업은 작년의 증가율 8.5%를 크게 상회하는 15.4%가 될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유통업은 영업망 확충 등으로 작년보다 63.5% 증가한 투자계획을 가지고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의 설비투자 내용을 보면 `생산능력 확충'이 총투자의 68.1%를 차지했으며 설비투자에 필요한 자금의 77.6%는 내부에서 조달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비투자에 애로가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물은 결과 내수부진이 36.7%로 가장 높았으며 기존 설비과잉 18.4%, 자금난 13.1%, 수익성저하 12.1%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연합뉴스) 박성제기자 sungj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