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인구가 최초로 기록된 조선 세종(1428년)때부터 최대로 늘었던 지난 1993년까지 서울의 인구는 100배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시사편찬위원회는 24일 선사시대부터 고대, 중세, 조선, 근대, 현대에이르기까지 시대별 서울 인구의 규모와 구성, 인구변동의 배경과 원인, 사회적 변화양상 등을 폭넓게 분석, 정리한 『서울인구사』를 발간했다. 이 책에 따르면 조선 세종 때인 1428년 세종실록에 기록된 당시 한양 도성안팎의 인구는 10만9천372명이었지만 565년이 지난 1993년 서울의 인구가 최대로 늘었을때 서울통계연보에 기록된 서울의 인구는 약 100배가 늘어난 1천92만5천464명이었다. 편찬위 관계자는 "세종실록에는 조선 태종때인 1409년 실시된 호구조사결과 나온 호(戶)수가 기록돼 있지만, 세대수인 호수로는 당시 인구를 추정할 수 있을 뿐"이라며 "세종때인 1428년에 와서야 처음으로 호수가 아닌 사람수가 기록됐다"고 말했다. 책에 따르면 서울시내에서 발견된 구석기 유적을 토대로 당시 인구를 추정한 결과 32개 유적 32곳의 집자리에 모두 128명이 살았으며, 신석기 시대에는 62개 유적1천34개의 집자리에 4천650명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됐다. 1993년을 정점으로 점점 줄어들고 있는 서울의 인구는 지난해 1천28만7천847명이었으며, 오는 2030년에는 902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4×6배판 1천417페이지의 책은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시청역에 위치한 서울시 정기간행물 판매처인 `하이서울 북스토어(☎2171-2126)', 교보.영풍문고 등 시내주요서점에서 2만5천원에 구입이 가능하다.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yulsi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