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정서를 빙자한 간섭이 계속되면 우리금융지주를 선진 금융회사로 만들 수 없다."(우리금융 사외이사) "공적자금이 투입된 정부소유 은행으로서 부적절하다고 본다."(최장봉 예금보험공사 사장) 우리금융 경영진에 부여된 1백63만5천주의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을 둘러싼 시각은 이처럼 엇갈린다. 사외이사들은 "공적자금을 받은 금융회사도 기업"이라며 "공적자금을 조기에 회수하기 위해서라도 스톡옵션제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동기부여론'인 셈이다. 예보의 주장은 다르다. "18조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된 금융회사 경영진이 대규모 스톡옵션을 받는 것은 국민정서에 어긋난다"고 강조한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선량한 관리자론'이라 할 수 있다. 동기부여론이나 선량한 관리자론 모두 나름대로 일리가 있다. 문제는 이번 사태의 근저에 이런 논리적 견해차 외에 '감정적' 요인도 깔려 있다는 점이다. 우리금융 사외이사들은 지난 2일 스톡옵션 부여 안건을 놓고 8시간30분동안 난상토론을 벌였다. 당초 예보가 제시한 안에는 황영기 회장의 스톡옵션 수량이 15만주였으나 사외이사들은 이를 25만주로 늘렸다. 여기서 문제가 생겼다. 예보,나아가 정부는 자존심에 상처를 입었다. 그러다보니 '주주총회 거부론'이 흘러 나왔고 이에 맞서 '사외이사 집단사퇴론'도 제기됐다. 다행히 파문은 진정되는 조짐이다. 사외이사들은 18일 모임을 갖고 자신들의 스톡옵션만 반납하는 선에서 사태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 노력키로 했다. 하지만 감정의 앙금마저 해소된 것은 아니다. 차제에 정부와 우리금융측은 '감정'이 개입될 수 없도록 공적자금이 투입된 금융회사의 자율성과 정부의 감독한계를 분명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이번 사태에 어리둥절한 우리금융 소액주주들에게 손바닥만한 체면이라도 차릴 수 있다. 하영춘 금융부 기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