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당사국의 핵심 전문가들은 17일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6자회담을 재개하는 것 외에 다른 대안이 없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5개국 전문가들은 이날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열린 `한반도 대량학살무기(WMD)확산방지를 위한 전문가회의'에서 북핵 현안에 대해 집중 토론한 결과 이같이 합의했다고 우리측 수석 대표인 문정인 동북아시대위원장이 밝혔다. 5개국은 특히 6자회담의 성공을 지원하기 위해 6자 정상회담이나 외무ㆍ국방장관 회담 등 6자간 다자안보체제를 구축하자는 데에도 원칙적으로 의견을 같이했다고문 위원장은 설명했다. 문 위원장은 "6자회담을 통해 단순히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동북아지역의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안보체제가 마련돼야 한다는 입장을 우리측이 주로 개진했으며, 다른 참가국들도 인식을 같이 했다"고 전했다. 한국과 중국 대표단은 특히 북한 6자회담의 재개를 위해 미국이 북한의 우려를감안한 `성의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미국측은 북한 핵 폐기와 대북 지원 문제와 관련해 `동시 이행'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지프 디트러니 국무부 대북담당특사는 북한 핵 폐기문제와 관련, 북한의 핵폐기 단계에 따라 미국은 체제안전보장이나 기타 경제지원 등 단계적인 지원을 할 수있다는 입장을 피력했다고 문 위원장이 전했다. 디트러니 특사는 지난 10일 미 의회 부설 미ㆍ중 경제안보검토위원회(UCESRC) 6자회담 청문회에 출석, "미국안도 북한이 우라늄 계획을 포함해 포괄적이고 검증가능하게 핵 폐기를 공약하면 우선 다자안전보장을 제공하고, 그 공약을 실천하면 관계정상화나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 등을 위한 대화를 한다는 것이어서 사실 동시적인셈"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미국은 또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중국이 한층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6자회담 결렬에 대비한 이른바 `대안론'에 대해 문 위원장은 "이번 회의에서는6자회담 성공을 전제로 향후 이행방안을 중점 논의했기 때문에 그런 주제는 크게 다뤄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현지 외교소식통은 "최근 미국내에서 6자회담 결렬을 상정한 강경방안이 제기되고 있는 것에 대해 공식적인 논의는 별로 없었지만 미국의 기류변화는 충분히 감지됐다"면서 "이번 세미나와는 별개로 6자회담의 미래에 대한 우려가 많이 제기됐다"고 전했다. (상하이=연합뉴스) 이우탁 특파원 lw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