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투기의혹에 시달리고 있는 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의 거취문제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악화된 여론이 좀체 가라앉지 않고 있는 가운데 여권의 중진의원들도 하나둘씩 이 부총리의 자진 사퇴를 거론하고 있어서다. 열린우리당의 친노(親盧) 직계인 염동연 의원이 지난 4일 기자간담회에서 "이 부총리는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린 데 이어 재야파를 대표하는 장영달 의원도 6일 기자회견을 갖고 "아무리 전문성과 능력을 갖추고 있더라도 도덕성에 기반하지 않으면 신뢰를 확보하기 어렵다"며 이 부총리의 '결단'을 촉구했다. 또 최근 이 부총리에 대해 우호적 발언을 했던 대통령 비서실장 출신 문희상 의원도 5일 "대통령의 임면권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건 적절치 않지만 지금 나오는 걸 봐선 상황이 좀 달라지는 것 같다"며 "만약 공직을 이용한 잘못이 추가로 드러날 경우 대통령의 생각이 달라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언급은 여권 최고위층의 기류 변화 가능성을 내비친 것이어서 주목된다. 실제 일부 언론은 이 부총리가 작년 2월 취임 후 경기도 광주시 땅을 파는 과정에서 토지투기지역지정 정보를 사전에 이용했을 수도 있다는 의혹을 잇따라 제기하고 있어 여론이 계속 악화되고 있다. 또 이 부총리가 문제의 광주땅 계약을 중개했다고 밝힌 현지관리인 김모씨(71)는 6일 "계약서 작성에 관여한 적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어 논란이 진정되지않고 있다. 이와 관련,재경부 관계자는 "20여년 전의 일이지만 부인이 위장전입 등을 통해 땅을 산 것에 대해선 이 부총리도 국민들께 죄송하게 생각한다"며 "그러나 공직을 이용해 개인적 이익을 취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억울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6일에도 이 부총리의 '유임'입장엔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차병석·박해영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