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프심위)는 4일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산 주요 소프트웨어(S/W) 제품 18개의 미국 및 한국내 판매 가격을 조사한 결과 한국내 가격이 최대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프심위에 따르면 MS의 'SQL 서버 2000 엔터프라이즈 25클라이언트(SQL Server 2000 Ent 25Client)'는 미국내 판매가가 4천790달러, 원화로 약 497만원인데 비해 한국에서는 1천806만원으로 약 3.6배의 가격에 팔려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MS 운영체제 '윈도XP 프로'와 '홈 에디션'은 한국내 가격이 미국내보다 54%, 36%씩 높았으며 '오피스 2003 프로'와 '비주얼 스튜디오 닷넷 프로 2003', '윈도 서버2000'도 한국에서 30∼82% 비싼 가격에 팔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도비사의 '포토샵 8.0'과 '애크로뱃 6.0 프로'도 미국내에서 각각 699달러, 399달러에 팔리는 반면 국내 판매가는 114만원, 75만원으로 58%, 81%씩 높았으며 오토데스크사의 '3D 스튜디오 맥스 6.0'과 '오토캐드 2005'도 국내에서 51%, 45%씩 비싸게 팔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게다가 미국의 GDP(국내총생산)가 한국의 약 4.1배(2001년 현재 기준)임을 감안하면 미국과 한국내 실질적인 가격 격차는 훨씬 커진다고 프심위는 덧붙였다. 그러나 안철수연구소[053800]의 'V3' 등 국산 백신 S/W와 치열히 경쟁을 벌이고있는 시만텍의 '노턴 안티바이러스 2004'만은 조사 대상 중 유일하게 미국 가격(40달러, 약 4만1천원)보다 국내 가격(3만9천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조사 결과는 한국내 경쟁 제품이 없는 미국산 S/W들이 한국에서 자국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폭리를 취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소비자들의 적지 않은 반발이 예상된다. (서울=연합뉴스) 박진형 기자 jh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