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정부의 일처리 방식이 눈에 띄게 달라질 전망이다. 청와대가 `e지원(e知園.디지털 지식정원)'이라는 이름의 업무관리시스템을 오는2007년까지 정부 중앙부처는 물론 기초 지방자치단체에도 확산시킨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소위 전자정부 구현을 위해 도입된 전자결재 등이 업무수행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면, `e지원'은 업무 자체를 변화시키고 전자정부를 완성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것이라는 게 청와대측 설명이다. 청와대가 23일 언론에 공개한 `e지원'은 `문서관리카드'를 토대로 하며 행정의투명성과 책임성 확보를 위한 문서관리시스템, 공적 행위를 철저히 기록하는 기록관리시스템 등 크게 2가지 체계로 나뉜다. `문서관리카드'란 하나의 보고서가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떤 의견이 제기됐고, 어떻게 처리됐는지 등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이른바 `보고서의 역사'에 해당한다. 이 같은 `문서관리카드'를 기반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은 온라인 보고, 온라인 회의와 함께 대통령을 비롯한 수석.보좌관 등의 지시사항을 관리하는 시스템 등다시 3가지 시스템으로 나뉜다. 가령 한 행정관이 보고서를 제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보출처, 문서취지, 공개여부 등과 함께 해당 보고서가 거쳐야 할 경로(부서 및 결재자) 등을 `문서관리카드'에 명시해야 한다. 보고서가 올려지면 이때부터 수직.수평적 의사소통이 이뤄진다. 검토자 및 결재자에 해당하는 비서관, 수석.보좌관, 비서실장.정책실장 등은 단계적으로 보고서에대한 의견과 함께 시행, 보완, 재검토 등을 결정한다. 동시에 보고서를 작성한 행정관이 협조 및 의견을 구한 `직접적 지휘계통' 밖의관계자들도 `e지원'에 올려진 보고서 및 자료를 읽고 `문서관리카드'를 통해 의견을개진하게 된다. 강태영(康太榮) 청와대 업무혁신비서관은 "`e지원'은 행정업무의 소위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단순한 온라인 보고가 아닌 문서의 생성부터 결재후 기록까지를 관리하는 것"이라며 "정부 행정업무를 혁신하는 틀로서 역사적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강 비서관은 "문서관리, 기록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뤄지면 업무처리 및 의사결정이 빨라지고 평가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며 "또한 인수인계 때 필요한 자료를 별도로 작성할 필요가 없으며, 문서자체가 업무프로세스를 표준화하는 기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모든 공개.비공개 문서를 축적하는 기록관리시스템을 마련한 청와대는 임기가 끝나면 영구 보존될 대통령 기록을 전문기록관리기관으로 이관하되, 국민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청와대의 업무관리시스템은 수정.보완작업을 거쳐 올 상반기에 행정자치부에서시범 도입되며, 내년 상반기에는 전 중앙부처가 도입하고 2007년 말까지는 전국 시.군.구 자치단체에 도입될 계획이다. 한편 노무현(盧武鉉) 대통령도 예외없이 `e지원'을 활용, 청와대 내부 업무를처리한다. 강 비서관은 이와 관련,"대통령 보고 만큼은 100% 온라인 보고로 이뤄진다"고 밝혔다. 또한 이 진 제1부속실 행정관은 이날 `대통령과 e지원의 하루'라는 보도자료를통해 "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e지원'을 가장 열심히 사용하는 유저(user)"라고 밝혔다. 이 행정관에 따르면 새벽 5시에 일어나는 노 대통령이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컴퓨터를 통해 일정을 점검한 뒤 `문서관리카드' 양식으로 올려진 보고서를 읽는 일이라고 한다. 노 대통령이 `e지원' 사용에 할애하는 시간은 아침 식사에 앞서 2시간, 저녁 식사 후 2시간 등 주중 하루 평균 4시간으로, 노 대통령은 `e지원'을 통해 하루 최대30개의 보고서를 소화하고 새벽 2시에도 지시사항을 올린다고 한다. 이 행정관은 "보고서의 디지털화에 익숙하지 않았던 비서진은 `반드시 문서관리카드를 사용하라'는 대통령의 엄명에 한때 고충을 겪었다"며 "종이 문서로 올린 보고서는 `문서관리카드로 보고하면 읽어보겠다'는 답신과 함께 되돌아 왔다"고 소개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