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육과 산업현장간 괴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기업이 참여하는 커리큘럼 및 교수진 편성을 통한 맞춤식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한다.' 김장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원장은 한국산업기술재단이 한국경제신문사 후원으로 17일 한국기술센터에서 개최한 '테크노포럼 21'에서 '산업기술인력정책의 방향과 과제'란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원장은 또 산업기술인력의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고 필요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섹터 카운설)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항구 현대시스콤 대표는 "삼성전자에서도 연간 7백억원을 들여 5만명을 교육하지만 내용은 회사문화가 주류를 이룬다"며 "대학들이 기업 프로젝트 수주에만 매달리지 말고 기술인력에 대한 보완교육과 애프터서비스에 힘을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민구 서울대 공대 학장은 "기업들이 평균 학점 3.0 이상인 학생을 대상으로 영어면접을 실시,신입사원을 뽑고 있다"며 "전공을 공부하지 않으면 취업이 되지 않도록 정부와 전국경제인연합회 등이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호원 산업자원부 산업기술국장은 "공학인증원을 통한 이공계 대학 평가 결과를 활용하고 취업률 등을 대학 평가요소로 적극 반영하며 연구개발과제에 대한 평가시스템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박봉규 산업기술재단 사무총장은 "산업기술인력의 양성 확보가 시급하다"며 "맞춤형 인재개발을 위한 정부 기업 대학간 협조체제가 가까운 시일 내 구축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원락 기자 wr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