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李海瓚) 총리가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연일 소신에 찬 `공세적' 답변 태도를 취해 관심을 끌고 있다. 여야 의원 가릴 것없이 논리적 결함이 있는 질문이라는 판단이 들면 `가차없이'정책 논리를 짚어가며 정면 반박하는가 하면 특유의 직설화법을 동원해 역공을 취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정기국회 이후 계속돼 온 이 총리의 이같은 답변 태도는 새해 첫 임시국회 들어서도 큰 변화가 없는 상태이다. 이를 두고 상당수 역대 `대독 총리'들과는 달리 5선 관록에다 서울시 정무부시장 등 풍부한 행정경험을 바탕으로 이 총리가 여야 의원들을 압도하고 있다는 해석이 있는가 하면, 지나치게 독선적이라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이 총리는 16일 열린우리당 주승용(朱昇鎔.전남 여수) 의원이 호남고속철도 건설사업과 관련, "이 총리가 경제성을 이유로 타당성 분석용역이 진행중인 이 사업에부정적 입장을 밝혔다"고 추궁하자 "왜곡말라"며 적극 반박했다. 이 총리는 주 의원이 거듭 "참여정부 공약사업으로, 조기 착공을 촉구하는 의원들도 많은데 이 사업에 대한 부정적 언급은 용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신중하지 못했다"고 비판하자 "그런 뜻이 아니었는데 자꾸 왜곡말라"고 말꼬리를 올리면서 "저도 호남의 지역적 소외에 깊은 애정을 가진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이 총리는 경부고속철도 수요예측 실패를 예시하며 "여러 수요가 있으나재원은 한정된 만큼 우선순위는 잘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용역 결과에 따르면된다는 것"이라고 첨언했다. 이 총리는 또 수도권 집중화 현상 등에 대한 자신의 설명을 놓고 한나라당 서병수(徐秉洙) 의원이 "이 총리 말을 들으면 수도권 집중이 자연스런 현상이고 어쩔 수없다는 것 같다"고 꼬집자 "들어보라"고 목소리를 높인 뒤 추가 설명을 하기도 했다. 이 총리는 나아가 서 의원이 정부의 국가 균형발전과 지방분권정책의 실효성에의문을 제기하며 "말을 꺼냈으면 `(일을) 하는' 정부의 모습을 보고 싶다"고 깎아내리자 "정책이 발표되면 1년만에 된다는 근시안적 생각은 안된다"고 역공을 취했다. 이어 이 총리는 민주노동당 조승수(趙承洙) 의원이 최저임금 법제화를 주장한데대해 "임금은 단협사항이라 유동적이고 법제화하면 오히려 사용자 입장에서 경제 부담이 늘어나 고용이 줄어들 수 있다"며 즉각 난색을 표시했다. 이 총리는 또 조 의원이 여권의 비정규직 관련입법 추진을 비판하자 "오히려 전체적으로 사용자보다 근로자에게 약간 유리한 법"이라는 견해를 주장하기도 했다. 이 총리의 직설화법은 우리당 노웅래(盧雄來)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절정을 이뤘다. "의원들이 질의를 일부러 유심히 들으면서 국가정책에 얼마만큼 이해를 갖고 깊이 생각하는지 살펴보고 있다. 신문에 보도된 기사를 모아서 하는 수준인지, 생각하면서 하는 수준인지 들으며 메모하고 있다"고 말한 것. 앞서 이 총리는 14일 정치분야 질문에서 자신의 과거 `한나라당의 차기 집권 난망' 발언 등을 겨냥해 한나라당 홍준표(洪準杓) 의원이 입장을 추궁하자 "한자도 더할 말이 없다"고 했고, 15일 경제분야 첫날 질문에서도 우리당 전병헌(田炳憲) 의원이 부동산정책 담당부처에 강남 거주 공무원들을 배치하지 말아야 한다는 소위 `신(新)상피제도'를 주장하자 "논란거리도 안된다"며 일축한 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고형규기자 un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