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대 4.15 총선 당시 해남.진도 선거구에서불법도청이 자행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이 선거구의 당시 선거 상황에 대한 관심이모아지고 있다. 이 해남.진도 선거구는 당시 민주당 이정일 후보가 대통령의 탄핵 후폭풍 속에서 치러진 4.15 총선에서 민주당이 힘들게 의석을 건진 9곳 중 하나로 세간의 주목을 끌었다. 대통령 탄핵전만 해도 현역의원으로 견고한 철옹성을 자랑했던 이 의원이 탄핵뒤 열린우리당 후보와의 격차가 20%가 훌쩍 넘는 상태에서 힘들게 따라잡기와 뒤집기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이 의원은 전체 유효표의 55.5%(3만4천844표)를 얻어 39.7%(2만4천955표)에 그친 당시 열린우리당 민병초 후보를 크게 따돌렸다. 선거초반만 해도 민 후보의 압승을 쉽게 생각하는 분위기에서 막판 뒤집기에 성공한 배경은 선거후반에 모아진 민주당 지지자의 결집과 함께 정책과 인물중심의 선거전락이 맞아 떨어졌다는 것이 당시 지역정가의 분석이었다. 이 의원은 선거기간 내내 탄탄한 조직력과 풍부한 자금, 인물론으로 탄핵바람만을 강조하는 민 후보측에 맞섰다. 또한 열린우리당의 경우 당초 후보로 내정했던 채일병 전 부패방지위원회 사무처장 카드를 포기하고 전직 국회의원 출신(11대)으로 인지도가 다소 높다는 이유로민 후보를 내세운 것이 패인을 자초했다는 것이 지역정가의 일반적 시각이다. 그러나 당시 민주당 후보의 선거대책본부장을 맡았던 군의원과 자금담당, 후보운전기사 등 3명이 상대후보의 최측근 집에 불법도청을 주도한 사실이 드러남에 따라 이들이 초반의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도청'이라는 무리수를 둔 것이 아니겠느냐분석이다. 아무튼 민주당측에서 불법도청을 한 사실이 검찰 수사결과 드러난 만큼 이 의원과 민주당은 도청 개입여부를 떠나 도덕성에 치명적인 상처를 받을 수 밖에 없다는지적이다. (해남=연합뉴스) 송형일 기자 nicepe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