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이 올해 미국 경제의 향방을 가늠할 최대 변수로 부상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물가 억제를 자신하며 '신중한 금리 인상'을 공언했지만 연초부터 물가가 심상치 않게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달러 약세로 수입품 가격이 속등하고 외국 자금 유입으로 부동산시장도 들썩이고 있다. 유럽 자금이 미국 부동산 시장에 흘러들고 있는 가운데 미국 공인중개사협회는 지난 한햇동안 미국 전역에서 거래된 주택이 6백64만채로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다고 최근 발표했다. 특히 영국인들에게 해외 별장 자리로 인기가 많은 플로리다주에서는 지난 11월 집 한채 평균 가격이 19만2천달러를 기록,연초 대비 22%나 급등했다. 미국 공인중개사협회는 올해 6백48만채의 주택이 거래돼 부동산 투자 붐이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지난해 국제원유를 포함한 원자재 값이 고공 비행한 여파가 지난해 말부터 소비자 가격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했다. 세계 최대 초콜릿 회사인 허쉬가 제품 가격을 5.8% 올렸고,가전 회사 월풀과 메이텍도 가격 인상 방침을 발표했다. 달러화 가치의 하락에 직접적 영향을 받은 수입품들의 가격은 더욱 상승,현재 미국에서 팔리는 유럽산 와인은 1년 전에 비해 20%나 올랐다. 지난해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3%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40년간 미국의 연 평균 물가상승률이 1%대였던 것과 비교하면 지난해 상승률은 매우 이례적인 수준이다. 임금이 오르고 있지만 노동 생산성 증가율은 오히려 낮아지고 있어 물가 상승 압박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지난해 3분기 미국의 노동생산성은 전분기 대비 절반 수준인 1.8% 상승에 그쳤다. FRB의 공식적인 입장은 여전히 금리를 서서히 올리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금리 조정을 위해 열린 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FRB 내부에서 이 같은 입장을 수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