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가 계속 추락, 외환위기 직후보다 악화되고 있어 올 상반기에 소비가 회복되기를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소득별로 월소득 400만원 이상 고소득층의 소비자기대지수가 3개월만에 상승,희망을 줬지만 나머지 계층은 모두 하락해 소득이 낮은 계층들이 경기에 대해 더 비관적인 전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소비자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6개월 후의경기, 생활형편, 소비지출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심리를 나타내는 소비자기대지수는 85.1로 전월(86.6)보다 떨어지며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지난해 12월의 소비자기대지수는 2000년 12월의 82.2 이후 4년만에 가장 낮은수치이고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2월의 86.7에 비해서도 1.6포인트가 떨어져 소비심리가 외환위기 직후보다 더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소비자기대지수가 100을 넘으면 6개월후의 경기나 생활형편 등이 현재보다 나아질 것으로 보는 가구가 나빠질 것으로 보는 가구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100보다낮으면 반대의 경우를 뜻한다. 지난해 7월부터 80대로 떨어진 소비자기대지수는 8월 87.0으로 전월보다 낮아진뒤 9월 88.9로 올라가 상승하는 듯 했지만 10월 88.0, 11월 86.6 등으로 계속 하락하고 있다. 12월 소비자기대지수를 항목별로 보면 경기에 대한 기대지수가 74.2로 2000년 12월의 64.3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생활형편에 대한 기대지수는 89.8로 3개월 연속하락하면서 2000년 12월의 87.9 이후 처음으로 80대로 떨어졌다. 소비지출 기대지수는 95.6으로 3개월 연속 떨어졌으며 내구소비재구매(82.4)와 외식.오락.문화(79.2) 기대지수도 하락세가 지속됐다. 소득별로는 전월에 사상 최악의 수치를 기록했던 월소득 400만원 이상 고소득 계층의 소비자기대지수가 93.1로 올라가며 3개월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하지만 300만∼390만원(87.7). 200만∼299만원(87.1), 100만∼199만원(82.7), 100만원 미만(77.1) 등 나머지 중산층과 저소득층의 소비자기대지수는 모두 전월보다 떨어졌다. 연령대별로는 20대의 기대지수가 98.0으로 2개월 연속 상승했지만 30대(86.9),40대(82.7), 50대(82.7), 60대 이상(86.4) 등 나머지 연령대의 기대지수는 앞선 달보다 모두 하락했다. 6개월 전과 비교해 현재의 경기나 생활형편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를 나타내는 소비자평가지수도 지난해 12월 62.2에 그쳐 2개월 연속 떨어졌다. 또 6개월 전과 비교해 현재의 자산가치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관적인 평가를 보여 주는 자산가치평가지수도 주식 및 채권(83.0)만 전월보다 0.8포인트 올라갔을 뿐 주택.상가(88.3), 토지 및 임야(93.1), 금융저축(86.8)은 하락했다. 이와 함께 1년전과 비교해 현재 가계수입의 변동을 보여주는 가계수입평가지수는 80.8로 전월(81.1)보다 소폭 떨어졌고 1년전보다 수입이 늘었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은 14.0%로 전월보다 1%포인트 줄었으며 수입이 감소했다는 가구의 비중은 39.5%로 전월보다 0.2%포인트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