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영 교육부총리 후임에 이기준 전 서울대 총장이 임명되면서 도덕성 시비가 일고 있다. 교육관련 단체들도 신임 교육부총리가 서울대 총장에 재직할 당시의 사외이사겸직, 연구비 미신고, 판공비 과다지출 문제 등을 거론하면서 따가운 시선을 보내고있다. 이런 점 때문에 수능부정 파문이 일면서 급격히 하락한 교육계의 신뢰도를 회복할 수 있을지, 사립학교법 등을 둘러싸고 커져만 가는 교육 현안을 풀어나갈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교육계에 따르면 신임 부총리는 2002년 4월 신변문제로 촉발된 학내.외의 사퇴압력으로 임기 전 중도하차하는 불명예를 안았었다. 서울대 총장 재직 당시 사외이사 겸직으로 시작된 논란은 연구비 미신고 문제와 판공비 과다지출 물의로 이어졌고, 이 과정에서 총학생회가 총장퇴진을 요구하며 총장실을 점거하는 사태가 빚어지기도 했다. 국제화, 세계화 강조에 따른 잦은 외국방문은 판공비 과다 지출의 한 요인으로 떠오르면서 도마 위에 올랐고, 큰 아들의 병역 단축 의혹이 일면서 곤혹스러워 하기도 했다. 서울대 총학생회는 지난 2002년 병무청이 서울대쪽에 보낸 `공익요원 복무기간 단축대상 검토'(99년 8월) 제하의 문서를 공개, 이 당시 총장이 지난 99년 공익근무요원으로 근무하던 큰 아들의 복무기간 단축을 시도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서울대측은 "복무기간 단축과 관련한 단순한 문의였다"고 해명했지만 이 총장은 도덕성에 상처를 입는 결과가 빚어졌다. 얽힌 실타래가 풀리지 않으면서 교수협의회 등 서울대 교수사회에서조차 총장퇴진을 요구했고, 결국 조기퇴진이라는 최악의 사태로까지 치달았다. 일부에서는 신임 부총리가 지난 98년 11월 총장에 선출된 후 `대학과 사회의 어른'으로 자리잡은 기존의 서울대 총장 이미지에서 탈피, CEO(최고경영자)적인 총장의 이미지를 강조하며 개혁을 주도적으로 이끌어왔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신임 부총리는 당시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이란 기치하에 대학원 지원 강화와 엄격한 교수평가, 연구업적 강화 등을 추진했고 외국 유수 대학과 활발히교류하며 서울대의 국제적 위상을 끌어올리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또 대학 자율성 확보라는 차원에서 대학운영구조 개선과 독립회계제도 추진을 통한 대학재정 확보에도 힘을 썼었다. 이런 점 때문에 교육계 일부에서는 신임 교육부총리 임명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지만, 전교조를 비롯한 교육관련 단체들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숨기지 않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