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행정수도 건설 무산에 따른 대안 중 청와대를 제외한 거의 모든 중앙부처가 옮겨가는 '행정특별시' 안과 청와대 및 외교안보 부처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중앙부처가 이전하는 '행정중심도시' 안이 '적합하다'는 판단이 나왔다. 신행정수도후속대책위원회(공동위원장 이해찬 총리·최병선 경원대 교수)는 27일 국회 신행정수도특위 2차 회의에서 3개 안을 신행정수도 후속 대안으로 보고했다. 교육 및 과학기술 관련 부처가 이전하는 '교육과학연구도시' 안은 중앙부처의 이전 범위가 작은 데다 도시의 자족성 확보 측면에서도 미흡하다는 점에서 '적합'보다 한 단계 낮은 '보통' 판정을 받았다. 후속대책위는 혁신도시 기업도시 대학도시 등 8개 안에 대해서는 '부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행정특별시는 18부4처3청을 신행정수도 예정지였던 충남 연기·공주로 이전하는 것이다. 이전 대상 공무원 수는 1만6천5백여명으로 추정된다. 대책위는 행정중심도시의 이전 규모는 15부4처3청에 1만4천여명이며 교육과학연구도시의 경우 7개 부처에 3천여명으로 각각 예측했다. 최승욱 기자 sw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