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 SK㈜ 정기주총에서 소버린자산운용과의경영권을 둘러싼 표대결이 예상되는 가운데 최근 SK㈜의 주주 지분율 변동이 잇따르면서 SK㈜가 주총에서의 `경영권 방어'에 성공할 수 있을 지 여부에 관심을 모으고있다. 최근 미국계 투자자문회사인 웰링턴의 대량 자전거래 등을 통해 SK㈜의 외국인지분이 크게 줄어든 데다 SK 계열사들이 지분을 외부에 매각하거나 자전거래하는 등주총에 대비하려는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SK건설은 지난 17일 장이 열리기 전 시간외 대량매매를 통해 SK㈜ 주식 430만5천주(3.38%)를 한국투자신탁운용에 매각했다. SK해운의 자회사인 SK건설이 매각한 SK㈜ 지분 3.38%는 SK㈜가 지난 3월 출자전환을 통해 SK해운의 지분을 늘리면서 상법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었지만 이번 매각을 통해 의결권이 되살아났다. 또 SK케미칼은 20일 장 개시전 SK㈜ 주식 110만주(0.85%)를 SKC&C에 매각했다. 이에 따라 SK㈜에 대한 SK케미칼의 지분은 3.26%에서 2.41%(306만5천826주)로줄어든 반면 최태원 SK㈜ 회장이 최대 주주인 SKC&C의 지분은 8.63%에서 9.48%로 늘어 소버린(14.97%)에 이어 2대 주주로 올라갔다. 반면 2대 주주였던 웰링턴은 지난 14일 하루 355만8천여주를 매각하는 등 SK㈜보유지분이 지난 3월 9.07%(1천152만주)에서 현재 6.28%(798만5천주)로 감소, 3대주주로 밀려났다. 이에 대해 SK측은 "계열사의 SK㈜ 지분 거래는 재무구조 개선이 목적"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SK 안팎에서는 "내년 정기주총 대비 등 다각적인 효과를 겨냥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의결권이 되살아난 한국투자신탁운용 지분의 경우 이 회사 권성철 사장이 "외국인의 무리한 요구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백기사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말한 바있어 SK㈜측에 우호적인 입장을 취할 가능성이 크다. SK케미칼의 지분 역시 매각 형태만 취했을 뿐 SKC&C로 넘어감으로써 계열사간지분율 변동만 생긴 상태다. 이에 따라 현재 SK㈜ 주요 주주 가운데 확실한 우호지분은 SKC&C와 SK케미칼 외에 최태원 회장의 0.6%, SK생명 0.48%, SK증권 0.12%를 포함한 계열사 13.57%, 채권단 3.2%, 일본 거래처인 이토추와 다이요의 0.52% 등 17%대지만 한국투자신탁운용지분과 최근 SK㈜ 주식을 매입하거나 매입키로 한 삼성전자 1.41%, 팬택&큐리텔 1.13%, 한국포리올 0.36% 등을 포함하면 23%선으로 올라간다. 반면 한때 62% 가량에 달하던 외국인 지분은 웰링턴의 매각 등으로 인해 20일현재 55%대로 떨어지는 등 급속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소버린의 `SK㈜ 임시주총 소집허가 신청'이 법원에서 기각된 점 등을감안, 일각에서는 "SK㈜가 이미 내년 주총에 대한 승기를 잡았다"는 분석마저 나오고 있다. 하지만 다른 일부에서는 SKC&C의 SK㈜ 지분 추가 매입이 `최 회장의 SK㈜에 대한 지배력 강화'로 비쳐지고 있는 점 등을 들어 그동안 지배구조 개선 등을 줄기차게 요구해온 소버린측으로부터 자칫 `역공'을 당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있다. 이같은 관측에는 법원 역시 소버린의 요구가 주총을 소집할 정도로 시급한 사안이 아닌 점 등을 들어 소버린의 신청을 기각했을 뿐 "소버린의 경영권 인수 시도가SK의 경영투명성 제고에 기여한 부분이 없지 않은 점 등을 감안하면 권리남용은 아니다"고 밝힌 점도 작용하고 있다. SK측도 "SK케미칼과 SKC&C간 거래는 계열사 외부에서 새로 주식을 매입한 게 아니라 최 회장 등이 그동안 주요 주주로서의 권한을 행사해온 계열사간의 지분 변동인 만큼 전혀 `지배력 강화'가 아니다"며 곤혹스러운 표정이다. 한편 SK건설과 SK케미칼은 이번 SK㈜ 주식 매각을 통해 상당한 이익을 챙기기도했다. SK케미칼의 경우 총 매입가격 226억원인 SK㈜ 주식을 619억원에 매각해 393억원의 차익을 얻었으며, SK건설의 경우 700억원대에 매입해 2천300억원에 매각함으로써무려 1천600억원 가량의 이익을 얻게 됐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기자 aupfe@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