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행정수도 건설 특별법 위헌 결정을 둘러싼 법리공방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충청권에 청와대와 국회를 제외한 `행정특별시' 또는 `행정타운'을 건설하는 대안이 정치권내에서 본격적으로 모색되고 있다. 청와대와 열린우리당 등 여권은 법리 논쟁과는 별도로 현실적인 대안을 찾기 위해 내주부터 `당.정.청 특별협의체'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논의에 착수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내에서는 국민투표 실시론 등 정면돌파 주장도 없지 않으나, 청와대와 국회를 제외한 행정 각부를 충청권으로 이전해 `행정특별시'를 건설하는 대안을 추진해야 한다는 현실론에 다수 의견이 모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여권은 헌재가 위헌 결정문에서 수도의 핵심 개념을 `대통령과 국회의 소재지'라고 규정하고 각 부처의 소재지는 헌법의 규정사항이 아니라고 명시한점에 주목하고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23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온갖 대안들이 다 검토될 수있다"며 "정부청사 이전 등을 중심으로 한 `행정신도시', `행정타운' 건설도 검토할수 있는 여러 대안들중 하나일 수 있으나 확정된 것은 없다"며 행정도시 건설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우리당 이종걸(李鍾杰) 원내수석부대표는 "구체적으로 조율된 것은 아니지만 행정특별시 얘기가 현실성이 있다"며 "비록 헌재의 위헌결정이 포악한 결정이었지만,법리논쟁은 논쟁대로 가더라도 현실성 있는 대안을 빨리 찾아야 한다"며 "내주중 조율해서 뭔가 대안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여권은 또 행정특별시 추진을 위해 위헌 결정이 내려진 신행정수도 건설 특별법을 폐기하고 새로운 입법을 해야 하는 지, 아니면 별도의 입법없이 `행정행위'로 할것인 지에 대한 법률 검토도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에서 거론되는 `행정특별시'는 청와대와 국회만을 제외한 모든 정부 부처를옮기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한나라당이 청와대와 입법부, 사법부, 통일 외교 안보경제 관련 핵심부처를 제외한 나머지 부처를 이전해 `제2과천형 행정타운'을 건설하자고 제안한 것보다는 훨씬 범위가 넓다. 그러나 여야가 행정수도 이전사업 중단이 충청권에 미치는 타격을 최소화하기위해 행정기능을 수행하는 신도시를 건설한다는 원칙에 합의할 경우, 이전 범위에대해서는 조율의 여지가 충분하다. 한나라당 이한구(李漢久) 정책위의장은 "제2과천형 충청권 행정도시 건설에 대해서는 여야가 쉽게 합의에 이를 수 있다고 본다"며 "그러나 행정타운 후보지로 행정수도 이전 예정지였던 충남 공주.연기를 전제로 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공주.연기보다는 교통 등 여건이 유리하고 건설비용이 적게 드는 대덕.유성 지역을 행정타운 후보지로 유력하게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여권에서는 차제에 충청권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국토 균형발전 계획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조경태(趙慶泰) 의원은 "성급하게 설익은 대안을 내놓으면 민심과 유리될 수 있다"며 "충청권뿐만 아니라 영.호남을 포괄한 새로운 밑그림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맹찬형기자 mangel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