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국회 국방위원회는 군인공제회에 대한 오전 질의를 마치고 오후 2시부터 합참 작전부서 고위 관계자들을 불러 동해상 잠수함추정 물체 출현 첩보에 따른 군의 작전상황 비공개 보고를 청취했다. 전날 국방위 소속 일부 의원들은 이달 10일 오전과 오후 사이 동해상 영해 바깥해역에 잠수함으로 의심되는 함정 2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출현해 작전 중이라는첩보를 미측으로부터 입수한 경위와 작전상황 등을 청취하자고 유재건 국방위원장에게 요청해 이뤄졌다. 이 자리에서 일부 여당 의원들은 잠수함 출현 소동이 일어난 지 이틀 뒤인 이달12일 해군본부에 대한 국정감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해군측이 이를 보고하지 않은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부 의원들은 당시 첩보 상황과 우리 군의 작전이 제대로 이뤄졌는지에대해 4일이 지나도록 군의 설명을 듣지도 못했는데 일부 언론에 기사가 나가자 이를다시 거론하며 보고를 받자고 유 위원장에게 강력히 요구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김관진 합참 작전본부장(육군중장)과 박정화 합참 작전기획차장(해군준장), 윤원식 합참 해상작전과장(해군대령), 이은철 정보본부 정보분석과장(육군대령)등 4명이 국감장인 서울 도곡동 군인공제회관으로 달려오게 됐다. 합참 관계자들은 40여분간 미측으로부터 첩보를 입수한 경위와 당시 해군 1함대사령부에서 해상초계기(P-3C)와 링스 대잠헬기(LYNX)를 급파하고 폭뢰까지 투척해가며 작전을 벌인 상황을 자세히 설명했다. 이들은 당시 동해상 출현 물체가 잠수함인 지, 게다가 북한 잠수함인 지는 불분명하나 첩보 입수 이후 작전은 완벽하게 이뤄졌으며 잠수함 추정 물체 출현 첩보 장소와 우리 군의 특수작전용 선박 침몰 지점은 서로 완전히 다른 곳이어서 아무런 연관이 없다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방부 남대연 공보관은 보도자료를 통해 "국방부가 북한 잠수함의 움직임을 포착, 추적 확인하여 이에 대해 저지.격퇴작전을 실시한 것처럼 보도한 일부 언론의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three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