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는 인생후반기를 내다보면서 "은퇴와 노후대비"를 본격적으로 고민하기시작하는 세대다. 자녀 대학등록금이나 결혼비용 등 목돈 들어갈 일은 많아지는데 반해 "명퇴"와 "정리해고"공포는 갈수록 절감하게되는 나이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나이든 부모를 모셔야한다"는 공감대를 가진 마직막 세대이면서 자신들은 "자식에 기대생각은 버린" 세대이기도하다. 이른바 "노(老)테크"가 이들의 주관심사인 것은 당연하다. 40대 10명중 8명 가까이가 "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 생활을 보장할 수 없다"고 대답했다. 국가가 주는 연금만으로는 60대 이후 안정된 삶을 유지하기가 턱없이 부족하다고 여기고 있는 것. 이 때문에 40대는 어떤식으로든 개인적으로 은퇴및 노후대책을 마련하고 있었다. 대책은 적금,연금,보험같은 금융상품이 주를 이룬 가운데 개발시대의 막내세대답게 부동산투자(임대소득)를 통한 노후대비책에 대한 관심이 어느 세대보다 높았다. 이는 한국경제신문이 창간40주년을 맞아 한국사회과학 데이터센터(KSDC)에 의뢰해 실시한 국민의식조사 결과에서 나타났다. ◆"노후 한달에 1백86만원은 있어야" '40대가 필요로 하는 노후생활 자금은 한달에 1백86만원.' 설문에 응한 40대가 현재 한달 평균 3백만원가량을 번다고 봤을 때 안정된 노후 생활을 유지하려면 현재 수입의 절반 정도가 필요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20대는 1백93만원,30대는 2백만원 정도라고 답해 40대보다 돈이 더 필요한 것으로 잡고 있었다. 50대는 1백39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40대를 포함한 전체 연령층이 생각하는 '노후 대비자금'은 평균 1백76만2천3백75원으로 조사됐다. '2백만∼3백만원 미만'이 전체의 24.8%로 나타났으며 △'1백만원 미만' 14.4% △'3백만∼4백만원 미만' 12.9% △'4백만원 이상' 5.2%였다. ◆"국민연금만으론 노후생활 어렵다" 조사 결과 국민연금은 국민들에게 노후 보장 수단으로 그다지 신뢰받지 못하고 있었다. 40대의 경우 78.3%가 국민연금이 노후대책이 될 수 없다고 답했다. 이들의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 정도는 전체응답(74.8%)을 웃돌았으며 전 연령대 가운데 두 번째로 높았다. 암울한 경제상황은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을 한층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경제가 장기불황에 빠지리라고 내다본 응답자를 분석한 결과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10년 이내 경기회복이 어렵다'고 답한 40대에서 '국민연금만으론 노후생활이 어렵다'는 답이 무려 86%에 달했다. 이에 대해 김형준 국민대 교수는 "직장과 가정에서 가장 왕성하게 사회활동을 하는 30대 후반∼40대 초반에서 노후가 불안하다는 의견이 많이 나왔다"며 "국민연금 제도가 아직 제자리를 잡지 못했다는 사실과 함께 우리 경제의 미래가 불확실하다는 위기 의식이 노후에 대한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노후는 적금·연금으로 준비" 국민연금을 필두로 한 공적부조에 대한 40대의 불안감은 개별적인 노후준비로 이어졌다. 노후준비 방법으로는 적금이나 연금이 주로 꼽혔다. 특히 부동산투자를 노후대책으로 꼽는 40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것도 이채롭다. '국민연금에만 기댈 수 없다'고 생각하는 40대 응답자 10명 중 4명(39.9%)가량이 적금이나 연금을 들고 있었다. 보험을 들고 있다는 사람도 26.4%에 달했다. 이남영 숙명여대 교수는 "자녀들이 성인이 되어가는 40대로서는 '노후'를 대비하지 않을 수 없는 나이"라며 "국가가 노후보장을 책임질 수 없다고 생각하는 그들이 사보험으로 이동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10명 중 2명가량(19.0%)은 별다른 노후대책을 마련하지 못하는 처지다. 중소 인쇄업체에 다니는 김수찬씨(42)는 "노후가 불안하고 준비를 해야 한다는 생각은 들지만 당장 빠듯한 살림에 먼 미래를 대비할 여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민연금연구센터 노인철 소장은 "다층적 준비 없이는 노후에 빈곤층으로 전락할 위험이 있는 만큼 노후대책은 국민연금 등 공적부조 기반 위에 퇴직연금 개인연금 개인저축 등 개인적인 대비책을 함께 해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30대의 경우 '적금,연금을 들고 있다'는 응답이 47.7%였다. 다음으로 '보험'(34.6%),'대책없음'(7.8%),'부동산'(5.3%)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20대와 50대 이상에서는 '특별한 노후대책이 없다'는 응답이 40%를 웃돌았다. 20대의 경우 직장생활을 하기 전이거나 사회 초년병이며,50대 이상은 경제활동을 하지 않아 특별한 소득이 없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