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시설포도와 복숭아 등을 재배하는 전북도내 588개 과수농가가 폐원을 신청, 과수농업 재배기반의 붕괴가 우려되고 있다. 전북도는 2일 한.칠레 협정체결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는 과수농가를 지원하기위해 농민들로부터 자율적 폐원신청을 받은 결과, 시설포도와 복숭아 등 588개 농가가 폐원신청을 했으며 면적은 300㏊로 보상 지원규모는 128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폐원 신청 규모는 농가수로는 전체 1천962농가의 29%, 면적은 총 1천125㏊의 27%에 해당한다. 품목별 폐원농가는 복숭아가 480 농가에 263㏊, 시설포도는 108 농가에 37㏊이며 시.군별로 보면 임실군이 71㏊로 가장많고 김제시 46㏊, 완주군 33㏊, 고창군 2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당초 예상보다 폐원신청이 많은 것은 과일값 하락에 따른 피해 우려와 농정에대한 불신 등이 주된 이유로 향후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과일 값 급등과 과수농업기반의 붕괴가 우려되고 있다. 과수원 폐원은 FTA체결로 직간접적인 피해를 받는 농민들에게 지원금을 주고 과수원을 구조조정 하는 사업으로 오는 2008년까지 5년간 시설포도와 복숭아, 키위 등3가지 품목에 대해 해당 과원전체를 폐원할 경우 300평당 시설포도는 1천31만5천원,복숭아는 244만7천원을 정부가 지원한다. 도 관계자는 "이 지원사업이 2008년까지 계속되지만 언제 중단될 지 모르는 불안 심리가 작용하면서 한꺼번에 폐원신청이 몰린 것 같다"면서 "칠레와 생산시기가겹치는 시설포도는 어쩔수 없지만 복숭아는 보관문제 때문에 수입이 어려운 만큼 한꺼번에 과수원이 문을 닫으면 향후 복숭아 값 폭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우려했다. (전주=연합뉴스) 임 청 기자 lc2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