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금리 하락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정책당국의 경기부양 의지가 강하고 부동자금이 많은 데다 향후 국내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채권과 같은 안정자산 선호 경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중금리의 하락세는 단기적인 현상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정책금리 면에서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금리가 올라가는 상황이기 때문에 국내 경기 요인만을 고려해 콜금리를 내리는 것은 긍정적인 효과 이상으로 부작용도 만만치 않아 보인다.

가장 우려되는 점은 대내외 금리역전 현상으로 외자이탈에 따라 경기가 둔화되는 '역(逆)자산 효과'다.

또 요즘처럼 금리변화에 대한 총 수요 민감도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콜금리 인하는 경기부양 효과보다는 부동산 투기와 같은 현상을 불러와 후유증이 클 수 있다.

앞으로 미국 등 주요국의 금리는 물가불안과 자산거품을 해소하기 위해 더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이 금리를 더 올린다면 오히려 콜금리 인상론이 급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채권수급 면에선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재정확대와 감세책을 추진할 경우 재정적자 확대로 국채 발행이 불가피해 보인다.

물가부문은 고유가와 콜금리 인하로 가장 희생이 예상되는 부문이다.

물론 국채발행과 물가불안은 시중금리를 올리는 요인이다.

따라서 시장금리의 하락 추세가 기조적으로 정착된다고 말할 수는 없다.

대체로 올해 말을 기점으로 상승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한상춘 < 논설ㆍ전문위원 schan@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