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9일 오후 북한이탈주민대책협의회 실무협의회를 열고 탈북자 관리에 지방과 민간의 참여폭을 확대하는 방안을 집중 검토했다.

또 북한이탈주민의 취업 확대를 위해 탈북자들의 눈높이를 겨냥한 '맞춤형 직업훈련' 실시 방안도 논의했다.

정부 당국자는 "탈북자 관리에서 중앙의 권한을 줄이고 지방과 민간으로 권한과책임을 넘기는 문제에 대해 주로 검토했다"며 "앞으로 특히 탈북자의 정착지원 집행업무가 과감하게 지방에 이전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탈북자 직업훈련은 피교육자의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진행됐다는한계가 있다"며 "교육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직업별로 탈북자용 교육프로그램을만드는 방안을 협의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탈북자'라는 호칭에 차별적인 이미지가 있어 북한이탈주민이 반발함에 따라 새로운 호칭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동영(鄭東泳) 통일부 장관은 이날 낮 기자들과 만나 "호칭을 바꾸는 문제를검토할 것을 간부회의에서 언급했다"며 "자발적으로 고향을 떠나온 사람인 만큼 '이향민'으로 부르는 것도 좋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장용훈 기자 jyh@yna.co.kr